더 강렬하게 돌아온 죽음에 대한 정의

더 강렬하게 돌아온 죽음에 대한 정의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3-25 23:48
수정 2015-03-26 0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무용단 안애순 감독의 ‘이미아직’

국립현대무용단 안애순 예술감독의 역작 ‘이미아직’(AlreadyNotYet)이 더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연출돼 관객들을 찾아간다. 지난해 초연 때보다 시각 이미지를 더 강화해 현실과 환상이 교차되는 경계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새롭게 꾸며졌다.

이미지 확대
‘이미아직’은 전통 상례에서 상여를 장식하던 목각인형 ‘꼭두’를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꼭두는 이승을 떠나 저승으로 가는 망자와 동행하면서 그의 영혼을 위로하고 극락왕생을 축원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은 재난 및 재해로 갑작스럽게 죽은 이들을 위해, 아무에게도 관심받지 못한 채 죽을 수밖에 없었던 이들을 위해 고통의 제의를 펼치면서 죽음을 삶의 교집합으로 끌어안는 한국 전통사회의 묵묵한 힘을 보여준다. 특히 작품 속 ‘잔혹놀이’는 주목할 만하다. 귀신, 도깨비 등 미지의 존재들과 인간의 놀이를 통해 인간이 자의적으로 만들어낸 위계, 폭력을 적나라하게 비판하면서 분열되고 쪼개진 인간 사회의 통합을 모색한다. 안 예술감독은 “이번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죽음이 갖는 의미, 우리가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는지를 되새겨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적 그로테스크의 진수인 도깨비 유머와 몽환적 세계를 그려 온 작가 주재환, 음악동인 ‘고물’과 함께 전통 음악의 새로운 차원을 실험하는 작곡가 이태원, 프랑스 정상급 조명디자이너 에릭 워츠 등 국내외의 유명 아티스트들도 대거 참여한다.

지난해 5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4차례의 지역 순회공연을 거치며 호평을 얻었다. 내년엔 프랑스 샤요국립극장에서 공연한다. 다음달 24~2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3만~4만원. (02)3472-1421.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