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이제 정치는 안 해…예술가들 뒷바라지할 것”

유인촌 “이제 정치는 안 해…예술가들 뒷바라지할 것”

입력 2015-04-12 13:25
수정 2015-04-12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극 ‘페리클레스’서 1인 2역 소화’유시어터’ 하루 1만원에 대관

유인촌(64)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5월 연극 무대에 선다. 예술의전당 기획공연 연극 ‘페리클레스’에서다.
이미지 확대
’페리클레스’ 출연하는 유인촌 전 장관
’페리클레스’ 출연하는 유인촌 전 장관 오는 5월 12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열리는 셰익스피어의 로맨스극 ’페리클레스’에서 극을 이끄는 해설자 ’가우어’와 ’늙은 페리클레스’를 맡아 1인 2역을 소화하는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연합뉴스


공직에 있던 8년의 공백기 후 2012년 무대로 돌아와 자신이 대표로 있는 극단 광대무변에서 낭독극 ‘파우스트-괴테와 구노의 만남’, 음악극 ‘홀스또메르’를 하기는 했지만, 외부 주요 무대에 서는 것은 처음이다.

그는 이 작품에서 극을 이끄는 해설자 ‘가우어’와 ‘늙은 페리클레스’를 맡아 1인 2역을 소화한다.

10일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유 전 장관은 “밖에서 관심을 많이 두는 것 같아서 조금 부담스럽지만 공부하는 기분으로 하고 있다”고 했다.

2004년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를 시작으로 2008∼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거쳐 2011년 대통령 문화특별보좌관, 2012년 예술의전당 이사장 등 8년간 공직에 있었다.

재직 시절 이른바 ‘코드 인사’ 발언, 연예인 응원단 ‘졸속예산’ 집행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그는 정치에 몸담았다 돌아온 배우를 보는 세간의 곱지 않은 시선이 부담이 되지는 않느냐는 질문에 “내가 하려고 매달려 한 일도 아니고 운명처럼 했던 일이기 때문에 그런 것에 연연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공과에 대해서는 시간이 더 지나야지 지금 평가되는 것이 다는 아닐 거에요. 조금 더 긴 호흡으로 지켜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열심히 한 일이 굉장히 많은데 그런 것은 평가를 안하니 조금 안타깝기는 하죠.”

그는 “그때그때 최선을 다했을 뿐 나중의 이미지나 더 좋은 자리를 생각하고 하지 않았다”며 “그래서 끝나고 나서도 빨리 털 수 있었고 지금은 잊어버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관을 할 때도 쇼를 한 것이 아니라 진정성을 갖고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직에 있던 8년이 결코 헛된 시간은 아니었다”며 “사실 어디를 가도 박수받고 환영받았다가 공직을 한 다음에는 ‘니편, 내편’ 반으로 갈렸지만, 그런 것조차도 연기의 소중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젊었을 때처럼 그렇게 기운이 나지는 않지만 오히려 느낌은 예전보다 훨씬 좋아요. 옛날에 한참 왕성하게 했을 때 보다도 이제부터 제대로 연기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는 “연극은 기운 떨어지면 못하기 때문에 무대에서 더 이상 못 걸어다니겠다 싶을 때까지는 연극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 10년을 더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영화와 드라마는 “더 늙어서” 할 생각이다. “아직은 산업의 현장으로 나가는 것은 좀 그래요. 힘든 쪽에서 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대학로 소극장이 잇따라 폐관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민간 소극장은 어려울 수밖에 없어요. 경제적으로 도저히 해결이 안되거든요. 그런데 사람을 키우고 꽃을 피우는 곳은 사실 그런 곳이라서 수혈이 꼭 필요해요. 국가에서 못하는 일을 민간에서 해줘야 하는데 나라도 그런 역할을 해보려고 합니다.”

그는 내달부터 자신이 대표로 있는 소극장 ‘유시어터’를 하루 1만원에 대관하기로 했다. 1999년 사재를 털어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개관한 곳이다. 5월 클래식·무용 축제를 시작으로 6월 연극 등 연말까지 이미 대관 일정이 빼곡하다. 올해 결과를 보고 정비해 내년 이후에도 이어갈 계획이다.

”연극인들이 소극장을 여는 것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이에요. 국공립 극장은 대관일이 정해져있고 다른 극장도 작품이 될만하면 나와야 하죠. 예술가들에게 돈을 지원하는 것보다 마음 놓고 싸게 이용할 수 있는 괜찮은 공간을 기업이든 국가든 만들어주는 것이 훨씬 낫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라도 실험적이고 학구적으로 예술을 하겠다는 친구들을 뒷바라지해보자 생각한거지요.”

그는 “그래도 장관을 하면서 나라살림을 한 사람이 나 혼자 잘먹고 잘사는 것은 마음이 편하지 않다”며 “앞으로 늙어가면서 내가 그런 역할이라도 하는 것이 도리라는 의무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언젠가 다시 정치를 할 생각도 있느냐는 질문에 웃으며 말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다 하고, 좋은 사람만 만나고, 좋은 말만 하고 살기에도 시간이 모자랍니다. 이제는 다른 일은 안 할 겁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