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명주사 옛 판화 100여점 서울 나들이

원주 명주사 옛 판화 100여점 서울 나들이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6-10 23:36
수정 2015-06-11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인쇄 문화의 꽃’

강원 원주 명주사 고판화박물관 소장품들이 서울나들이에 나섰다.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德周寺版佛說阿彌陀經·강원유형문화재152호) 등 우리 옛 판화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100여점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우리나라 회화에 큰 영향을 준 중국 화보(畵譜)인 ‘개자원화전’ 초간본, 일본 히로시게(1797~1858)의 우키요에(浮世畵) ‘야마나시의 사루하시 풍경’은 일반에 최초로 공개된다. 다음달 20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Ⅱ에서 열리는 특별전 ‘인쇄 문화의 꽃, 고판화’다.

이미지 확대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선조 5년(1572) 월악산 덕주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고려 양식을 답습하는 등 당시 서예와 판화, 미술 양식 변천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선조 5년(1572) 월악산 덕주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고려 양식을 답습하는 등 당시 서예와 판화, 미술 양식 변천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번 전시는 국립민속박물관의 ‘K-Museums 초청 특별전’ 첫 번째 행사다. ‘K-Museums 초청 특별전’은 평소 접하기 어려운 지역 공·사립박물관의 소장품을 서울 박물관에 전시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관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3부로 구성됐다. 1부 ‘세상을 밝히다-지식’에선 지식과 정보를 세상에 전파하는 인쇄 매체로서 판화의 특징을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유교 덕목의 실천과 보급을 위해 간행된 ‘오륜행실도 목판’(五倫行實圖木板) 등 어려운 내용을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그림과 함께 쉽게 푼 목판과 판화가 전시돼 있다. 2부 ‘소망을 담다-염원’에선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을 표현한 ‘선암사 오도자 관음보살’, ‘천수천안관음도’ 등 우리나라 불교 대중화에 영향을 준 판화를 만날 수 있다. 마지막 3부 ‘멋을 더하다-꾸밈’에선 책표지를 장식하는 데 사용됐던 능화판화, 꽃과 새·길상문자 등의 문양을 찍은 이불보, 다색판화로 제작된 ‘십장생도’ 등을 접할 수 있다. 박물관 측은 “세계 인쇄 문화 속에 화려하게 꽃 피웠던 우리 옛 판화의 진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6-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