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가는 ‘완전체’ 종묘제례악

파리 가는 ‘완전체’ 종묘제례악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6-15 00:20
수정 2015-06-15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불 교류의 해’ 개막작… 역대 최대 규모 9월 18~19일 국립샤이오극장

한국 전통예술의 정수인 ‘종묘제례악’이 오는 9월 18~19일 프랑스 국립샤이오극장의 장 빌라르 극장 무대에 오른다. 내년 한·불 수교 130주년을 맞아 9월부터 내년 말까지 한국과 프랑스에서 각각 진행되는 ‘한·불 상호 교류의 해’ 행사 개막 공연이자 국립샤이오극장의 2015-2016 시즌 개막작으로 선정된 데 따른 것이다.

이미지 확대
종묘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군왕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인 음악이다. 악(樂), 가(歌), 무(舞)등을 하나로 엮은 종합 예술로, 한국 궁중 문화의 총체적인 역량이 모두 담겨 있다. 1964년 12월 7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이번 공연에는 음악과 노래를 담당하는 국립국악원 정악단 50명, 춤을 담당하는 무용단 35명 등 85명의 예술단원과 전문 제작진 등 120명이 참여해 종묘제례악의 음악과 춤, 제례 과정 전체를 역대 최대 규모로 선보인다. 2000년 일본, 2007년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연주단 40여명이 간이 공연 형태로 선보인 적은 있지만 해외에서 완전체 형태로 공연하는 것은 처음이다.

프랑스 공연에서는 ‘축문’(祝文) 읽는 소리 등 제례 절차의 음악 외적 소리는 제한하고 장대하고 엄숙한 원곡의 예술성을 부각하는 데 주력한다.

춤도 국립샤이오극장의 T자형 무대 공간에 맞춰 어느 각도에서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도를 일부 변경했다. 현지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공연 도입부에 종묘제례악 해설과 종묘의 사계절이 담긴 영상을 상영하고, 제례 절차에 따른 음악과 춤에 대해서도 자막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최준호 한·불 상호교류의 해 조직위원회 예술감독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줘도 손색없는 최고의 걸작이자, 한 나라의 음악이 이토록 오랫동안 유지·전승된 경우가 희귀하다는 점에서 종묘제례악이 개막작으로서 부족함이 없다는 데 양국 조직위가 동의했다”고 개막작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김해숙 국립국악원장은 “파리를 시작으로 올가을 베를린, 마드리드, 부다페스트 등 유럽 주요 국가에서 다양한 국악 프로그램 순회공연도 이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립샤이오극장은 1937년 개관했다. 오페라 가르니에와 함께 유럽 최고의 무용 공연장으로 손꼽힌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6-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