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으로 비춘 세상

빛으로 비춘 세상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6-22 23:36
수정 2015-06-23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역서울284 ‘은밀하게 황홀하게’ 展

광복 70주년과 세계 빛의 해를 맞아 문화역서울284(옛 서울역 건물·사적 제284호)에서 ‘빛’의 향연이 펼쳐진다. 광복(光復)과 빛의 의미를 돌아보고 빛을 통해 보는 세상과 예술 작품을 살펴보자는 취지로 기획된 전시의 제목은 ‘은밀하게 황홀하게: 빛에 대한 31가지 체험’이다.

이미지 확대
일제강점기의 건축물 가운데 외관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는 옛 서울역사의 독특한 구조를 최대한 살린 사진, 설치, 영상,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과 공연으로 다양한 예술적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빛을 주제로 한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예술의 근원적 모티프인 빛을 새로운 감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한국, 대만,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헝가리 등 8개국에서 온 31명의 다국적 작가와 팀이 참여했다.

건물 1층에 있는 1, 2등 대합실은 빛을 체험하는 여정의 출발점이다. ‘어둠을 더듬어 빛을 만나다’라는 소주제로 빛과 어둠, 화이트와 블랙의 관계, 보는 것과 보이는 것, 실재와 허구의 괴리를 다룬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사진작가 주명덕의 ‘잃어버린 풍경’을 시작으로 김도균, 함진, 민병헌, 이상진, 박정기 등의 작품들은 어둠 속에서 빛이 어떻게 존재감을 드러내는지 보여준다. 계단을 올라가면서 만나는 그림자 형상은 뮌의 작품 ‘그린룸’이다. 다목적 그릴이었던 2층의 홀에선 안드레 케르테스, 만 레이, 라슬로 모호이너지, 완다 율츠 등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사진작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빛을 통해 독특하게 재현된 세상의 풍경과 인물들은 왜 사진을 빛으로 그린 그림이라고 하는지를 보여준다. 전시 공간의 한쪽 벽면과 천장에는 피아노의 아름다운 선율과 함께 파리와 인도의 풍경들이 서울역의 고전적인 실내 장식과 중첩된다. 프랑스 출신의 사진작가 로망 알라리와 앙투안 레비가 초기 카메라 형태인 카메라오브스쿠라로 포착한 이미지들이다.

안내실과 복도, 회의실, 예비실은 빛과 어둠의 경계를 탐색하는 흥미로운 작품들로 기웃거리는 재미를 준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작품을 선보이는 작가 그룹 에브리웨어는 영상에 작은 랜턴 빛을 비추면 영상을 뚫고 새로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든 작품 ‘포털’을 선보였다. 빛을 새로운 작업의 세계로 끌어들인 이창원, 박여주, 김모든, 장태원, 인세인 박 등 동시대 미술가들의 시각예술 작품을 만날 수 있다. 3등 대합실로 쓰였던 1층의 다목적홀에는 조덕현의 ‘콜라쥬 오브 메모리’, 이이남의 빛 장식품과 ‘조춘도-보이지 않는 빛’ 등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조화, 동서양의 병치를 담은 작품들이 놓였다. 대만 출신의 영상·퍼포먼스 작가 조동옌과 조슈이가 협업한 파노라마 퍼포먼스 영상도 참신하다. 빛의 여정은 중앙홀에서 마무리된다. 홍채의 기능과 움직임을 모방한 작가 그룹 하이브의 ‘아이리스.p’와 손을 대면 작품의 색이 변하는 댄 플래빈의 작품 ‘라이트 트리’를 통해 세상의 빛이 갖는 의미를 일깨운다. 전시는 7월 4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6-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