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화백 ‘로병사 - 다시 생’ 기획展
극사실적인 인물화에 인간 삶을 진솔하게 표현해 온 이상원(80) 화백의 개인전이 강원 춘천시 이상원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로병사-다시 생’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에는 인물화 연작 ‘동해인’ 등 노년의 삶을 담은 대형 인물화 40여점이 선보인다.
이 화백은 1950~1960년대 극장 영화 간판 그림과 주문 초상화를 그리다가 불혹을 바라보는 나이에 순수미술로 전환한 작가다. 춘천 출신으로 화가가 되고자 1953년 서울로 상경해 일용직 노동자 생활을 하다가 다음해부터 서울 시내 극장 등지에서 간판 그림을 그렸다. 1960년 주문을 받아 초상화를 그리기 시작한 그는 1970년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전시된 안중근 의사 영정과 한국의 정치인 등을 그리는 상업초상화가로 활동했다. 1974년에는 상업미술에서 순수미술로 전환해 작품 활동을 해 왔다.
바닷가의 정경, 눈밭에 흔적으로 남은 자동차 바큇자국, 폐허의 이미지 등을 극사실로 그리던 화백은 순수미술에 입문한 지 20여년이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사람들의 모습을 화폭에 담기 시작했다. 화폭에 노인들만 담는 이유에 대해 화백은 “많은 인물을 만나 보면 그중에 내 마음속에 깊이 파고드는 얼굴들이 있다”며 “주름지고 못생긴 노인의 얼굴은 삶의 진정성을 일깨워준다”고 말했다.
팔순을 넘긴 그는 “흔히들 생로병사(生老病死)라고 하지만 삶이 ‘로병사’(老病死)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다시 생(生)’ 한다는 윤회의 의미를 담고 싶었다”고 했다. “시간은 가고 죽을 날이 다가온다. 아직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시간이 없다”는 그는 요즘도 춘천 작업실에서 오전 6시면 일어나 작품을 시작한다. 이 화백은 “나는 작업하기 때문에 건강하다”면서 “최근에는 작업의 관심이 닭으로 옮겨갔다”며 여전한 창작열을 보여줬다.
상업초상화가 시절 수없이 그림을 그려 팔았던 시기를 지나고 나서 순수미술을 시작한 그는 작품을 팔지 않기고 결심했고 그 다짐을 그대로 지켰다. 화백의 아들인 이승형 대표가 지난해 10월 건립한 미술관에는 이 화백이 40년간 그린 작품 2000여점이 소장돼 있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 (033)255-9001.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9-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