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정약용의 자녀·가족 사랑을 마주하다

아버지 정약용의 자녀·가족 사랑을 마주하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5-08 22:58
수정 2016-05-09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하피첩’ 전시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아버지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이 지난 4일부터 선보인 특별전 ‘하피첩(霞?帖), 부모의 향기로운 은택’이다. ‘정약용 필적 하피첩’(보물 1683-2호·이하 하피첩)은 민속박물관이 지난해 9월 경매를 통해 구입했다. 당초 정약용의 후손들이 갖고 있었는데 한국전쟁 때 분실된 이후 행방이 묘연했다. 2004년 경기도 수원의 폐지 줍는 할머니 손수레에서 발견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하피첩’엔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부모가 돼 함께 자녀를 키우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원래 네 첩이었는데 지금은 세 첩만 전해지고 있다. 박물관은 보존처리를 위해 하피첩 두 첩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을’(乙)과 ‘정’(丁), 두 글자를 발견해 하피첩이 갑을병정(甲乙丙丁) 순서로 제작됐음을 확인했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나머지 한 첩은 보존 상태가 양호해 해체 작업을 하지 않았지만 세 첩 중 저술 시기가 가장 빠르고 본문 전체가 비단으로 제작돼 있는 점으로 미뤄 순서상 ‘갑’(甲)일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세 부분으로 이뤄졌다. ‘부부,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에선 정약용과 홍혜완 부부의 결혼과 사랑을, ‘자녀에게 남기는 부모의 마음’에선 가족 곁을 지켜주지 못한 안타까움으로 저술된 ‘하피첩’의 숨은 이야기를, ‘자손에게 전해진 하피의 먹 향기’에선 서첩에 담긴 가르침을 마음에 새기고 실천했던 자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엔 딸에게 화목을 기원하며 선물한 ‘매화병제도’(梅花屛題圖), 다산초당 풍경을 묘사한 ‘다산사경첩’(茶山四景帖·보물 1683-1호) 등 정약용 관련 유물 30여점도 감상할 수 있다. 천 관장은 “이번 전시는 하피첩에 담긴 가족의 의미를 발견하고 공유하는 자리”라며 “다산은 자녀들이 효제(孝悌)를 바로 세우고, 자아를 확립한 후 학문을 익히기를 바랐다. ‘하피첩’에 담긴 정신적 유산은 물질적 가르침이 중시되는 현대 사회에 더욱 소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시는 다음달 13일까지 이어진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5-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