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은 ‘五德’ 지닌 서쪽 수호신… ‘정유년 새해를 맞다’ 특별전

닭은 ‘五德’ 지닌 서쪽 수호신… ‘정유년 새해를 맞다’ 특별전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1-01 17:40
수정 2017-01-01 1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월 20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닭의 해’가 궁금하다면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을 찾아가 보자. 2017년 ‘정유년’(丁酉年)을 맞아 닭의 문화적·생태적 의미를 소개하는 특별전 ‘정유년 새해를 맞다’가 오는 2월 20일까지 열린다.

특별전은 3부로 구성돼 닭의 가치를 살펴본다. 제1부에서는 ‘십이지 신장 닭그림’과 ‘앙부일구’ 등을 통해 닭이 서쪽을 지키는 방위신이자 오후 5∼7시를 가리키는 동물임을 알려준다.

제2부는 문(文)·무(武)·용(勇)·인(仁)·신(信) 등 오덕(五德)을 지닌 존재로 닭을 조명한다. 조선 후기 하달홍(1809~1877)은 ‘축계설’(畜鷄說)에서 ‘한시외전’의 고사를 인용해 닭은 머리에 관(볏)을 썼으니 문(文), 발톱으로 공격하니 무(武), 적을 보면 싸우니 용(勇), 먹을 것을 보면 서로 부르니 인(仁), 어김없이 때를 맞춰 우니 신(信)이라 했다. 변상벽의 ‘계도’(鷄圖)를 비롯해 금계도(鷄圖), 계명도(鷄鳴圖) 등 그림과 닭 모양 연적 등이 선보인다.마지막 제3부에서는 닭이 디자인 요소로 활용된 다리미, 제기, 목판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보여준다. ‘계이’(鷄?), ‘수젓집’, ‘닭 다리미’, ‘계견사호(鷄犬獅虎) 목판과 닭 그림’ 등 여러 생활용품을 통해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친근한 동물로서의 닭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닭의 해에 일어난 주요 사건, 설화, 속담 등도 모아서 전시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1-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