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공연] 중장년 향수 자극한 ‘왓 어 필링’… 그 커튼콜 뮤지컬

[새 공연] 중장년 향수 자극한 ‘왓 어 필링’… 그 커튼콜 뮤지컬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1-20 17:34
수정 2019-01-21 11: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17일까지 ‘플래시댄스’ 공연

이미지 확대
뮤지컬 ‘플래시댄스’
뮤지컬 ‘플래시댄스’
‘커튼콜 뮤지컬’이라는 표현을 써도 될지 모르겠다. 본 공연보다 마지막 커튼콜이 더욱 기억에 남는 뮤지컬 ‘플래시댄스’를 보며 떠오른 생각이다.

1983년 개봉한 동명의 영화를 소재로 한 뮤지컬 ‘플래시댄스’ 오리지널팀 내한 공연이 다음달 17일까지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낮에는 제철 공장에서, 밤에는 댄서로 일하며 전문 댄서의 꿈을 꾸는 18세 소녀 알렉스 오웬스와 그를 돕는 공장 사장 아들 닉 허리 등을 중심으로 젊은이들의 성장 스토리가 펼쳐진다.

‘왓 어 필링’, ‘맨헌트’, ‘아이 러브 로큰롤’ 등 뮤지컬 넘버(곡)로 편곡된 올드팝은 중장년 세대의 향수를 자극하고, 영국 웨스트앤드 배우들의 안무는 볼거리를 제공한다. 18일 서울 첫 공연에서는 객석마다 커튼콜 때 흔들 ‘슬로건’이 마련돼 다분히 작품의 하이라이트가 무대 조명이 꺼지기 직전에 있음을 짐작하게 했다. 뮤지컬 넘버 메들리와 함께 배우들의 화려한 댄스가 이어지는 7~8분의 커튼콜은 ‘인생은 한편의 춤’이라는 극중 대사를 무대로 표현한 화려한 세리머니였다.

작품은 지난해 7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의 폐막작으로 먼저 소개됐다. 당시 전 회차가 매진되는 흥행에 힘입어 서울 무대까지 올랐지만, 세종문화회관에서는 완성도를 높여 가는 중이라고 봐야겠다. ‘핫한 댄서’ 이상의 매력을 보여야 하는 히로인 ‘알렉스’를 비롯해 배우들 역시 새로운 무대에 대한 적응까지는 좀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무엇보다 3000여석에 이르는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이 아닌 규모가 좀더 작은 극장이었다면 관객의 무대 집중도를 높이기 더욱 좋았을 것 같다. 작품에서 가장 유명한 천장에서 쏟아지는 물줄기 장면도 객석의 흥분을 자아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도 나온다. 마찬가지로 중극장 규모였다면 이 또한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수 있었겠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1-2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