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건강에 아무리 신경을 써도 계속되는 피로감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심리적인 측면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무기력과 피로일 정도로 심리적인 원인은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 연구 기관이자 심리학에 관한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Psych2Go’는 만성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을 다음의 6가지로 분류한다.
사진=’Psych2Go’ 유튜브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Psych2Go’ 유튜브
1. 삶이 버거울 때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겪었거나 헤어짐을 겪었을 때, 새로운 환경에 갑자기 적응해야 할 때, 결정해야 될 많은 일들과 의무 및 책임감이 자신을 짓누를 때, 이 모든 상황들은 삶을 버겁게 만든다. 심리적인 삶의 무게는 신체에도 압박감을 줘 피로감에 시달리게 된다.
2. 해로운 환경에 처해있을 때
가족 등 주변인의 사이가 안좋을 때, 업무나 학업 등 한쪽에 치우칠 수 밖에 없는 삶 속에 있을 때 삶의 균형은 깨지고 신체적 피로는 함께 찾아온다.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의 이야기처럼 환경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
3. 스스로를 돌보지 않을 때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않거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지 않을 때,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사교생활에서 분리돼 자기 자신을 홀로 방치할 때 사람들은 더 큰 피로감을 느낀다고 한다. 스스로를 잘 돌보는 것은 피로를 극복하는 중요한 열쇠다.
4. 항상 불안감을 느낄 때
불안감은 심리적 긴장을 유발한다. 불안은 긴장 상태를 지속시켜 심리적, 감정적으로 지치게 만든다. 건드리면 터질 것 같은 시한폭탄 같은 심리는 신체적으로도 충분한 휴식을 줄 수 없다.
5.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
우울증의 증상 중 하나는 피로감으로 대표된다. 피로감은 정신적인 피로와 신체적인 피로를 모두 포함한다. 우울증은 불면증을 동반하기도 하며, 무기력하고 의지를 잃어버린 생활은 몸 마저 지치게 만든다.
6. 스트레스에 시달릴 때
위에서 언급된 많은 부분이 스트레스와 연관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티졸과 아드레날린이 과도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은 정서와 기억력에 영향을 미치는 뇌 해마를 위축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스트레스는 정서적 불안으로 이어져 주어진 휴식시간 마저 편안히 쉴 수 없게 한다.
강경민 콘텐츠 에디터 maryann425@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