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6일 ‘서울국제음악제’ 피날레 장식하는 우크라 출신 지휘자 키릴 카라비츠
“ 세상에서 가장 열정적인 한국 관객과 만남 기대다양한 요소 연결 ‘갈라 콘서트’ 같은 무대 펼칠 것
오케스트라 소리의 결 따라가며 가을의 정서 느껴 보길”
ⓒKonrad Cwik
2009년 서울시립교향악단 객원 지휘 등으로 몇 차례 한국을 찾아 국내 클래식 팬들에게도 익숙한 우크라이나 출신 세계적 지휘자 키릴 카라비츠가 다음달 6일 ‘2025 서울국제음악제’ 폐막 공연 무대에 오른다.
ⓒKonrad Cwik
ⓒKonrad Cwik
“‘음악은 침묵에서 시작된다’는 아버지의 말이 깊이 남아 있습니다. 음악인으로서 제게 가장 중요한 철학입니다.”
우크라이나 출신 지휘자 키릴 카라비츠(49)가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국을 찾는다. 다음달 6일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2025 서울국제음악제(SIMF)’ 폐막 공연 무대에 오르는 SIMF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기 위해서다. 작곡가이자 명지휘자로 이름을 떨친 이반 카라비츠(1945~2002)의 아들이기도 한 그는 아버지에게서 받은 영향을 이렇게 설명했다. 깊은 고요와 침묵을 깨는 것으로서의 음악. 얼마 전 카라비츠를 서면으로 만났다.
“한국 관객은 공연 중에는 굉장히 집중력 있게 몰입하고, 공연 뒤에는 굉장히 열정적으로 바뀝니다.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열광적인 관객인 것 같습니다. 한국 공연은 늘 보람차고 기쁘고 또한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번 축제 역시 기대 중입니다.”
카라비츠는 한국과 꽤 인연이 깊다. 2009년과 2013년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호흡을 맞췄으며 2022년에는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내한했다. 지난해에도 부산시립교향악단과 함께 예술의전당 교향악 축제 등의 무대에 올랐다. 2009년 내한 당시 지휘자와 협연자로 만났던 피아니스트 김선욱과도 ‘절친’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국을 찾을 때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고국의 비극적인 상황을 언급하기도 했지만 이번엔 말을 아꼈다. 일각에서는 종전 기대감도 나오지만 두 나라 사이의 전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번 공연은 다양한 요소를 한 무대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해야 하는 일종의 ‘갈라 콘서트’라고 할 수 있어요. 각 곡을 마치 춤처럼 유기적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제 역할이죠.”
2009년부터 17년째 이어진 SIMF의 올해 주제는 ‘춤’이다. 클래식 중 춤과 관련한 곡들이 무대 위에 올려졌다. 카라비츠는 총 세 곡을 맡았다.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 비올라를 위한 협주곡’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교향적 무곡’까지는 클래식 팬들이라면 그래도 익숙할 듯하다. 그러나 다케미쓰 도루의 ‘가을의 현’은 다소 낯설다. 일본 출신 다케미쓰는 서양과 동양 음악의 조화를 추구한 작곡가로 유명하다. 카라비츠는 오케스트라와 지휘자, 관객 사이에 오가는 ‘감정’이 음악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가을의 현’에 관해 이렇게 설명했다.
“가을의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담아낸 매우 서정적인 곡입니다. 오케스트라의 색채와 독특한 화성 언어를 통해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하죠. 소리의 결을 따라가며 가을이 주는 그 특유의 정서를 느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10-3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