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타 작곡가의 탄생…이하느리의 국악 초연작에 쏟아진 환호

슈퍼스타 작곡가의 탄생…이하느리의 국악 초연작에 쏟아진 환호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25-06-27 14:54
수정 2025-06-27 16: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작곡가 이하느리(왼쪽)와 최수열 지휘자가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린  Re-프로젝트 ‘장단의 재발견’ 무대에서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작곡가 이하느리(왼쪽)와 최수열 지휘자가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린 Re-프로젝트 ‘장단의 재발견’ 무대에서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19세 작곡가 이하느리가 처음 선보인 국악 작품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Unselected Ambient Loops 25-25)는 그야말로 ‘파격’이었다. 국악관현악곡으로는 드물게 전체 연주 시간이 45쯤이고 악장은 총 7개로 구성했다. 1~3악장과 5~7악장 사이에 4악장은 음악 없이 4분이 흘러간다. 이 악장의 제목은 ‘인터미션’(Intermission)이다.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이 작품을 선보이기에 앞서 무대에 오른 이하느리는 “제가 한 호흡으로 길게 가는 곡을 못 써서 악장을 많이 나눴다”면서 “1·2·3 악장이 한 곡, 5·6·7악장이 한 곡이어서 중간에 청각적인 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조곤조곤하게 덧붙였다. “4분 동안 쉬는데 밖에 나가시면 안 돼요. 물을 마시거나 조금 자세를 바꾸시거나 기침하시면 됩니다.” 25-25는 작품을 시작하고 끝낸 2025년을 뜻한다.

지난해 헝가리 버르토크 국제작곡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내외 클래식계에서 주목받는 이하느리는 이날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Re-프로젝트 ‘장단의 재발견’에서 재능을 증명했다.

웅장한 북소리를 시작으로 가야금, 거문고, 아쟁, 해금 등이 각자 본연의 소리뿐 아니라 두드리고 튕기는 독특한 방식으로 각자의 음을 쌓아갔다. ‘인트로덕션’(Introduction)이라는 제목이 붙은 강렬한 1악장이 끝나면 2악장은 느린 악장(Slow Movement)으로 숨 고르기를 하는 식으로 악장 간 대조도 만들어놨다.

1악장이 끝나는 순간부터 객석에서는 “미쳤다”는 속삭임이 들려왔고, 전곡이 마무리됐을 땐 관객들은 엄청난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공연이 끝난 뒤 공연장 로비는 이하느리의 팬사인회가 됐다. 많은 관객들이 그에게 사인을 받고 사진을 찍으며 공연의 감동을 간직하려고 모여들어 한참 동안 붐볐다.

이하느리는 국악관현악에 도전한 이유는 “국악기에 관심이 많았고 막연하게 ‘언젠가 쓰고 싶다’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최수열 선생님께서 먼저 제안을 줘서 성사됐다”고 했다.

지난해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수석 객원지휘자로 활동하는 최수열은 “작년 11월 연주하다 독특한 작품을 써줄 작곡가를 찾다가 이하느리에게 제안했다”고 위촉 배경을 부연했다. 최 지휘자는 이날 공연에서 관현악단의 3대 단장이자 창작 국악의 개척자인 김희조(1920~2001)의 ‘합주곡 3번’을 선보인 뒤에 이하느리 신작을 지휘하면서 두 작품의 대비가 확연히 드러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미지 확대
19세 작곡가 이하느리가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초연한 국악 작품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Unselected Ambient Loops 25-25)는 천둥 같은 웅장한 북소리로 도입부부터 강렬하면서도 긴장감 넘친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19세 작곡가 이하느리가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초연한 국악 작품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Unselected Ambient Loops 25-25)는 천둥 같은 웅장한 북소리로 도입부부터 강렬하면서도 긴장감 넘친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이하느리는 “(작곡하는 데)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년까지 걸리는데 이번에는 빠듯한 일정으로 조금 다른 방식으로 (곡을) 쓰게 됐다”면서 “악기 자체의 소리에서 흥미를 느껴 작업한다. 국악기는 제가 주로 쓰는 양악기들과는 아예 다른 음향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데 그걸 다 담지 못해 조금은 아쉽다”고 했다.

내달 3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선 이하느리의 새 작품 ‘애즈 이프…….아이’(As if…….I)를 세계 초연한다.

그에 앞서 이하느리는 김현섭(34) 화성시예술단 국악단 예술감독, 이고운(36) 작곡가와 함께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상주 작곡가로 위촉됐다. 올해 창단 60주년을 맞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작곡가와 장기적이고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처음 상주 작곡가 제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이들은 이달부터 기한 없이 정기 공연과 실내악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올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신작을 발표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