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북 시대, 출판계 미래전략 보고서

e-북 시대, 출판계 미래전략 보고서

입력 2010-07-17 00:00
수정 2010-07-1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자책의 충격】 사사키 도시나오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외부 환경의 변화는 늘 머릿속 대응의 속도를 앞질렀다. 최근 10년 남짓 그러했다. 누군가는 어지러운 속도감 속에 하릴없이 서성거리며 푸념했고, 또 누군가는 변화가 열어놓은 커다란 공간을 환호하며 활보했다.

‘전자책의 충격’(사사키 도시나오 지음, 한석주 옮김, 커뮤니케이션스북스 펴냄)은 단순한 번역서가 아니다. 주로 미국과 일본의 현황과 이슈 등을 중심으로 일본인 저자가 쓴 내용을 풀어놓되 국내 상황에 대한 이해도 구체적으로 높이고 있다. 전자책(e-북)의 정책, 제도, 문화적 변화의 대응 등 책의 미래에 대한 총체적 전략보고서라 할 수 있다.

책이 요구하는 독자의 폭은 넓다. ‘모름지기! 책은 종잇장 넘기는 여백 사이에서 성찰하고 모색하며 읽는 것’이라고 고집하는 보수적인 이들도, 정신없이 몰아치는 과학기술 변화에 어지럼증을 느끼면서도 잘 따라가지 못해 안절부절못하고 있는 이들도, 오로지 전자책 안에서 출판의 미래가 보장될 것이라고 낙관하는 이들까지도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했다. 전통의 출판강국 일본의 눈으로 바라보는 킨들과 아이패드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그들의 의도를 분석한다.

나아가 전자책이니, 플랫폼업체, 콘텐츠업체 등 어지러운 용어 안쪽에 숨어 있는 핵심적인 본질, 즉 출판생태계를 이루는 중요한 주체인 독자와 저자의 확장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지 짚어낸다.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종이책이냐, 전자책이냐가 아니라 책을 통한 인류의 지혜와 지식을 공유·소통·확장하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기술적인 논의에 묻혀 자칫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다.

지난 4월 일본에서 출판된 지 채 석 달도 되지 않아 국내에서 번역됐다. 책 마지막에는 국내에서 전자책에 대해 머리 싸매고 고민하고 있는 출판사 대표, 교수, 기자 등 각계 전문가 다섯 명의 문제의식과 전망을 붙여 놓았다. 그간 파편적으로 진행된 국내 전자책 논의를 총체적으로 시작하기 위한 발제문 성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책의 역사와 현황, 과제를 다룬 이 책이 ‘종이책으로만’ 나왔다는 사실은 아이러니하거나 의미심장하다. 1만 3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7-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