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믿음, 그 다음은 뭘까?

행복한 믿음, 그 다음은 뭘까?

입력 2011-06-25 00:00
수정 2011-06-2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교, 심층을 보다】 오강남 지음 현암사 펴냄

요즘 종교계에서는 ‘심층 종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맹목적인 믿음의 표피적 종교(표층 종교)가 아닌, 종교 본연의 영성적 체험과 속내를 제대로 보자는 인식의 변화들이다. “세상을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해야 할 종교가, 거꾸로 세상으로부터 교정받아야 할 대상이 됐다.”는 지탄과 한숨이 무성한 지금, 종교 바로보기를 겨눈 ‘심층 종교’에 대한 시선 집중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모든 종교의 심층에는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경지가 있다.” 현대 지성인의 사도라는 폴 틸리히가 남긴 이 말은 종교가 현재의 만족과 행복에 머무는 표층의 단계를 넘어선 공통의 지향점을 갖는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깨달음을 통한 나와 남의 공존과 평화, 그리고 공동선을 향한 노력에 대한 눈뜸이다. 이는 빌어서 복을 구하는 기복이며 신과 나의 구분을 전제한 맹목의 믿음과 문자적 복종을 훌쩍 뛰어넘는 종교 심연의 천착이기도 하다. 모든 종교에는 표층과 심층의 속성이 맞물려 있으며 궁극적으로 그 심층의 종교로 닿기 위해 개인과 공동체의 깨달음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다.

동서양의 많은 사상가며 철학자, 종교적 선지자들은 공교롭게도 그 심연의 종교를 중시한 공통점을 갖는다. 그렇다고 할 때 그 선지자며 선지식들의 사상과 흔적을 꿰뚫어본다면 요즘 종교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심층 종교’에 한 발짝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가 최근 낸 ‘종교, 심층을 보다’(현암사 펴냄)는 그런 측면에서 눈길을 끈다. 베스트셀러 ‘예수는 없다’로 국내외 종교인들의 관심을 모았던 저자가 묶어낸 역작. 지난달, 같은 ‘신비주의’의 세계관을 가진 후배 종교학자 성해영과 나눈 대담집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북성재 펴냄)가 심층 종교라는 문제 제기의 서론서 역할을 했다면 이 책은 그 본론 격이다.

책은 지난 2년간 법보신문에 연재했던 글 모음집이라지만 단순한 평면의 ‘인물 보기’가 아닌 ‘심층 종교’ 차원에 초점을 맞춘 사상과 궤적의 돋보기라 할 수 있다. 등장 인물은 로마의 철학 사상가, 유대교의 지도자, 그리스도교의 선각자, 이슬람교의 성인, 동아시아의 사상가, 인도의 영성가, 불교의 선지자, 한국의 스승 등 60인. 자이나교의 ‘불살생’ 영향을 받아 생명경외의 실천적 삶을 살았던 슈바이처, 20세기 최고의 유대사상가이면서 도덕경·장자를 익혀 이른바 ‘관계 철학’을 탄생시킨 마르틴 부버, 범종교적 에규메니즘 신학자인 한스 큉, 해방신학의 아버지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그가 추려낸 “나와 신, 이웃, 만물이 하나임을 깨닫고, 지금의 나에서 해방돼 본래의 참 나로 다시 태어난” 심층 종교 선지자의 반열엔 한국의 다원주의 종교가인 류영모·함석헌도 들어 있다. 2만원.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