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임수에 대한 거의 모든 것 】 산타페연구소 속임수연구회 지음 황소걸음 펴냄
영상을 조작하고 사진을 합성한다. 과정은 똑같다. 하지만 그것이 영화나 미술 등 예술로 표현된다면 사람들이 열광하고, 신문 1면이나 방송 뉴스에 나온다면 비난할 것이다.아귀가 먹이를 유혹하기 위해 가짜 미끼를 사용하는 것은 생존의 방법으로 인정받지만 여자를 유혹하기 위해 가짜 신분을 내세우는 것은 ‘돌 맞을’ 일이다.
비슷한 성격의 속임수인데도 대중이 엇갈린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속임수에 대한 거의 모든 것’(산타페연구소 속임수연구회 지음, 브룩 해링턴 엮음, 고기탁 옮김, 황소걸음 펴냄)에서는 이런 속임수의 종류와 본질을 낱낱이 파헤친다.
무슨 이런 연구를 다 했나 싶겠지만 브룩 해링턴 독일 막스플랑크사회연구소 특별연구원은 이렇게 의미를 부여한다.
“우리는 속임수란 무엇이며 그것이 도덕적, 윤리적으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여전히 씨름하고 있다. 인문학과 과학 전반에 존재하는 속임수에 대한 연구를 통합하는 노력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발전을 의미한다.”
그럼 속임수와 거짓말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 저자들은 ‘고의성’ 여부를 두고 둘을 달리 본다. 거짓말은 허위 사실을 공표하려는 고의성이 필요하지만 속임수는 의도적인 거짓 행위가 없는 상태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속임수가 가장 만연해 있는 생물의 세계를 들춰보자. 수컷 블루길 선피시(송어의 일종)는 암컷으로 가장해 몰래 짝짓기를 하고, 딱새는 경쟁자들을 물리치려 허위 경보를 보낸다. 모방문어는 물속에 있는 다른 대상을 흉내 내 위협에서 벗어난다. 이런 속임수는 번식과 생존을 위한 것으로 거짓말과는 다르다.
인간 세상사의 속임수는 이보다는 고의적이지만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플라세보 효과’처럼 질병을 겪는 환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진실을 의도적으로 은폐하며 저지르는, 일종의 ‘윤리적 속임수’가 그렇다.
결국 ‘속이는 행위’는 매한가지인데 무엇은 필요하고, 무엇은 비판받는 이유는 뭘까. 해니 패리드 다트머스보안기술연구소 연구원은 “기대하는 바가 명백히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를테면 사진을 놓고 봤을 때 할리우드 스타나 정치계를 바라보는 대중은 어느 정도 이미지 조작을 바라지만 보도처럼 정확한 내용에서 이뤄진 조작은 배신감으로 느낀다는 것이다. ‘신뢰’를 준 데 대한 배신감이다.
책은 이 밖에 군사와 공중 보건, 금융 등에서 속임수를 쓴 사례와 일상생활에서 무엇을 속임수라고 할 수 있는지 등을 다각도로 풀어낸다. 방대한 연구 자료를 한꺼번에 담았지만 일상에서 접근할 만한 다양한 사례를 녹여 이해하기 쉽다는 점이 미덕이다. 2만 3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2-18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