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시스템의 이면 들춰본다

현대의학 시스템의 이면 들춰본다

입력 2013-02-16 00:00
수정 2013-02-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사들에게는 비밀이 있다/데이비드 뉴먼 지음 RHK 펴냄

전지전능한 하느님과 의사를 일치시킨 ‘의느님’이라는 말이 있다. 완벽한 성형수술로 다른 사람을 만들어낸 성형외과 의사들을 일컫는다. 성형외과에 한정하지 않아도 많은 사람은 의사의 능력을 높이 산다. 이 때문에 “술·담배를 줄이시고, 운동을 하세요”라고 구체적인 병명 대신 뻔한 조언을 할 때면 사람들은 “의대 나와서 그렇게밖에 진단을 못해”라고 불평하며 가자미눈을 하게 된다. ‘의사들에게는 비밀이 있다’(데이비드 뉴먼 지음, 김성훈 옮김, RHK 펴냄)는 그 불신의 배경이 되는 지점부터 의사들이 과도하게 처방을 하는 현실까지 현대 의학 시스템의 이면을 들춘다.

미국 뉴욕의 한 종합병원 응급의학과에 몸담은 저자는 머리말에서 “어떤 개인이나 집단을 헐뜯고자 쓴 내부 고발이 아님을 이해해 주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을 전한다. 실제로 책은 잘잘못을 따지기보다는 보건의료 체계의 현실을 세세하게 들춰낸다.

책은 저자의 어머니 사례로 시작한다. 복통을 호소하는 어머니를 믿을 만한 동료 의사에게 맡겼다. 혈액검사와 심전도검사, 흉부와 복부 엑스선 촬영에, 간·복부 혈관 초음파검사까지 하면서 소장, 대장, 맹장, 대동맥 등 온갖 검사를 다 끝내는 사이 복통이 가라앉았다. 검사 결과는 모두 정상. 결국 진단은 ‘감별 불능 복통’으로 나왔다. 정확히 말하면 ‘진단 불가’다. 복통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 중 40% 정도는 ‘감별 불능 복통’이지만, 의사들은 대부분 소화 궤양, 난포낭종, 대장염 등 구체적인 병명으로 임시 진단을 내린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사인(死因)이 ‘심장마비’도 이상하다. 심장마비가 왜 발생했는지 밝히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과학 발전에도 현대 의학으로 진단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증상과 질병의 목록은 상당”한데 “의사들은 마치 모든 해답을 아는 듯 행동해야 하고 환자들은 의사가 다 알고 있을 거라 지레짐작”한다. 환자의 기대와 무한한 믿음, 의료소송에 휘말리지 않고 수익에도 신경 써야 하는 의사의 처지, 그 중간쯤에서 과도한 검사와 진단, 무의미한 치료가 일어나는 게 현실이다. 효과가 없다는 걸 알면서도 인후염에 항생제를 처방한다든가, 무릎·허리 관련 수술을 하는 식이다.

모든 사례가 미국의 경우이지만 ‘감기는 병원에 가면 2주 만에 낫고 안 가면 보름 만에 떨어진다’는 우리식 농담도 설명할 수 있을 만큼 먼 얘기가 아니다. 누구나 잠재적 환자가 될 수 있는 상황에서 불필요하고 잘못된 진료를 피해 가는 데 참고할 만하다. 1만 3000원.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2-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