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남대 낚시 잘되게 어초… 1주 전부터 밑밥

청남대 낚시 잘되게 어초… 1주 전부터 밑밥

입력 2014-03-07 00:00
수정 2014-03-07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통령 일화·근무자 애환 담아 ‘개방 10주년… 이야기’ 책 펴내

청남대가 대통령 전용 별장으로 사용되던 시절 안에서는 무슨 일들이 있었을까. 이런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충북도가 지난 5일 발간한 ‘개방 10주년 기념 청남대 이야기’란 책에는 근무자들의 애환 등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들이 많이 담겨 있다. 대통령을 모셔야 했던 직원들은 신경 쓸게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청남대에서 대통령들이 낚시를 즐기면 고기가 잡히지 않으면 어쩔까 노심초사했다. 소문처럼 잠수부가 동원되지는 않았지만 직원들은 물고기가 많이 모이도록 어초를 만들고, 방문 일주일 전부터 밑밥을 뿌려 특정 장소로 고기를 유인했다. 칼국수 오찬도 남달랐다. 김영삼 대통령이 산책을 마치고 그늘집에 도착하는 시간에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주방에서 400여m 떨어진 그늘집까지 국수를 배송하며 카트를 동원하는 등 면발이 붇기 전에 먹을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을 썼다고 책은 전하고 있다.

대통령과 가족들이 머무는 본관 안에서 직원들의 행동은 걸음걸이 하나까지 제한을 받았다. 접견실과 회의실 바닥에 깔린 카펫에 발자국이 남지 않도록 직원들은 무늬가 많은 쪽만 밟고 다녀야 했고, 걸을 때 소리가 나서도 안 됐다. 물건에 지문이 남아도 안 됐다.

청남대가 개방되자 많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소박하다’고 했지만 청남대 건립 당시에는 최고급 제품들이었다. 본관 1층 현관에 걸려 있는 샹들리에는 아직도 국내에 하나밖에 없는 진귀한 제품이고, 회의실 카펫은 ㎡당 15만원을 호가한다. 본관 앞에 있는 수십 그루의 소나무는 한 그루에 수천만원에 달하는 명품이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겨울철 스케이트를 즐겨 타던 양어장이 문민정부 이후 세상이 부드러워진 듯 얼지 않았던 일화도 책은 전하고 있다.

이재덕 청남대관리사업소장은 “이 책은 청남대와 관련한 최초의 기록이자 국민들에게 청남대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자료집”이라면서 “책 내용을 청남대 홈페이지에도 올려 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북 청원군 문의면에 자리 잡은 청남대는 1983년 12월 준공돼 사용돼 오다 2003년 4월부터 민간에 개방됐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4-03-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