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책세상] ‘마거릿 풀러:뉴 아메리칸 라이프’

[지구촌 책세상] ‘마거릿 풀러:뉴 아메리칸 라이프’

입력 2014-05-24 00:00
수정 2014-05-24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 인권에 바친, 짧지만 강렬했던 삶…언론인·교육자·운동가였던 마거릿 풀러의 40년 생애를 고스란히 담다

사라 마거릿 풀러(1810~1850). 페미니즘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일지도 모르겠다. 이 세상에 40년만 살다간 불꽃 같은 인생이었지만 미국의 진보적인 여성 교육자이자 언론인, 그리고 초월주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여성인권 운동가로 강렬한 족적을 남겼다. 특히 그의 대표 저서 ‘19세기 여성’은 미 최초의 의미 있는 페미니즘 작품으로 지금도 널리 읽히고 있다.

‘피바디 자매들’ 등을 쓴 저명한 전기 작가이자 에머슨대 교수인 매간 마샬의 작품 ‘마거릿 풀러: 뉴 아메리칸 라이프’를 만난 것은, 책 한 권 제대로 읽을 시간이 없는 워싱턴 특파원으로서 누린 작은 기쁨이자 사치스러운 경험이었다. 어렴풋이 이름만 알고 있었던 그의 전기를 접하게 된 것은 퓰리처상 선정위원회가 지난달 14일 전기 부문 수상작으로 이 책을 선정했기 때문이다. 퓰리처상 덕분에 보물을 발견한 기분이랄까.

풀러의 인생은 여성으로서, 언론인으로서 처음부터 끝까지 흥미롭다. ‘뉴 아메리칸 라이프’라는 소제목과, 검은색 긴 치마와 대조되는 빨간 머플러를 한 손에 펄럭이며 어디론가 가고 있는 책 표지에서도 그의 남다른 삶을 엿볼 수 있다.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서 태어난 풀러는 변호사이자 정치인인 아버지 덕분에 지성의 세계에 일찍 눈을 뜨면서 교사가 되고, 특히 여성의 교육 기회와 취업할 권리 등 여성인권 문제 운동가로 나서게 된다. 1840년에는 초월주의 저널인 ‘더다이얼’의 첫 여성 편집장이 되고, 4년 뒤 뉴욕으로 무대를 옮겨 ‘뉴욕트리뷴’에서 활동하게 된다. 1845년 ‘19세기 여성’을 펴낸 뒤 1년 후 첫 여성 유럽 특파원으로 임명돼 이탈리아 로마로 향한다.

1840년대 이탈리아 혁명 등 혼돈의 시기를 겪으면서 풀러는 개인적으로도 격동의 순간을 맞게 된다. 1848년 연하인 이탈리아 경호원 지오바니 오솔리와 만나 사랑에 빠지고 아들까지 낳게 된 것이다. 이미 ‘피바디 자매들’을 통해 로맨티시즘의 진수를 보여줬던 작가 마샬은 풀러와 오솔리의 운명적인 로맨스를 직감적으로 생생하게 묘사한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이들 세 가족은 1850년 뉴욕으로 함께 이동하던 중 타고 있던 선박이 뒤집히면서 한꺼번에 목숨을 잃고 만다. 풀러의 운명은 그의 마흔 번째 생일이 막 지난 어느 날 이렇게 끝나 버렸다.

이 책의 퓰리처상 수상 소식에 평론가들은 “풀러의 삶을 가장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쓴 작품”이라고 극찬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5-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