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을 든 아이들, 소년병/미리엄 데노브 지음/노승영 옮김/시대의창/392쪽/2만 2000원
“매일같이 살인을 목격하면서 다들 살인에 익숙해졌어요. 시간이 지나자 폭력이 저의 일부가 되었어요.”(소년병)
“강간은 부대 내에서 일상적인 일이었어요. 저는 모든 남자(병사)의 아내였어요.”(소녀병)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새 책 ‘총을 든 아이들, 소년병’이 전하는 수많은 인터뷰 가운데 하나다. ‘소년병 징집 금지 연대’라는 국제단체가 2004년 밝힌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소년병은 25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소년병 징집의 ‘중심지’ 아프리카는 물론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심지어 유럽 내 일부 국가에서도 소년병 징집이 이뤄지고 있다.
현대전은 국가 대 국가의 전쟁보다는 내전의 성격이 짙다. 정당성과 권위를 잃은 국가가 사회를 불안하게 만들고 그로 인한 잦은 분쟁은 내전으로 격화된다. 내전이 장기화될수록 빈곤은 심화되고, 결국 소년병이 확산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책은 ‘시에라리온 혁명통일전선’(RUF)에 몸담았던 아동들의 소년병 ‘만들기’와 사회 구성원으로 ‘되돌리기’ 과정을 살피고 있다. 시에라리온은 11년 동안 내전을 겪었다. 수많은 아동들이 폭력의 잔학상을 목격했거나 적극 가담해야 했다. 저자가 시에라리온에 주목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자는 RUF 출신 아동 76명(소년 36명, 소녀 40명)을 표본 삼아 2년여 동안 심층 면접과 집단 토론을 벌였고, 이를 통해 소년병 문제를 체계적으로 짚었다.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비극은 쉽게 잉태됐지만, 결코 쉽게 종식되지 않고 있다는 것.
아울러 저자가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로 삼은 건 소녀들의 전쟁 참여다. 책은 “1990~2003년 사이 소녀들은 55개국에서 무장세력에 관여했으며, 38개국에서는 무력충돌에 적극 가담했다”고 적고 있다. 무장단체나 군대에 속한 여성 비율은 대개 10~30% 수준이다. 문제는 소녀병들 대부분이 납치돼 끌려왔고, 이들 가운데 거의 전부가 전투행위 이외의 폭력들, 예컨대 강간 등의 성폭력에 시달려야 했다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6-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