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의 뒤를 요상한 여자 아이 하나가 졸졸 따라온다. 토마토 꼭지처럼 한 움큼의 머리카락을 하늘 높이 묶고 가방 대신 검은색 비닐봉지를 달랑 든 채다. 아이는 첫 마디부터 반 아이들을 황당하게 한다. “나는 ‘마루마’라는 별에서 온 마리야.”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하지만 정작 마리에게 지구인의 교실 풍경은 황당한 것투성이다. 지구인들은 왜 수업시간에 입 한 번 떼지 않는지, 쉬는 시간은 왜 10분밖에 안 되는지, 왜 학교에선 배우고 싶은 건 배울 수 없는지, 왜 조회 시간엔 교장선생님만 말해야 하는지….
반대로 아이들에게 마리는 ‘이상한 아이’에서 ‘만능 해결사’가 되어 간다. 슬픈 아이에겐 슬픔을 먹어주는 찰흙 인형 만드는 법을 일러주고, 친구와 싸운 아이에겐 화해 공책을 쥐어 주고, 왕따를 주도하는 아이는 호들갑을 떨어 물리쳐 준다.
발언을 독점하는 ‘독재자’ 교장 선생님 대신 말하고 싶은 아이들을 위해 학생 발언단까지 모집한다. 교장 선생님의 미움을 사지 않으려는 선생님들의 방해 공작이 치밀한 가운데 다가온 운동장 조회 시간. 다들 눈치만 보는데 누가 앞으로 나설까.
‘가만히 있는 것’을 ‘정상’으로 여기는 우리 교육 현실에서 마리는 스스로의 주장대로 ‘외계인’이자, 평지풍파를 일으키는 ‘골칫거리’다. 하지만 변하지 않을 것 같던 권위적인 선생님과 수동적인 아이들은 자신도 모르게 달라지기 시작한다. “세상을 바꾸는 건 특별한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며 자주 입을 다물었다”는 작가는 “어쩌면 마리 같은 친구를 오래전부터 만나고 싶었는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마리는 누군가 용기를 내주길 바라기 전에 스스로 한 발 재겨 딛는 것이 행복의 열쇠임을 일러주러 지구에 왔는지도 모르겠다.
초등 3학년부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6-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