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악몽 20여년 전 미국 이미 전쟁은 시작되고 있었다

에볼라 악몽 20여년 전 미국 이미 전쟁은 시작되고 있었다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5-03-21 00:06
수정 2015-03-21 0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핫존/리처드 프레스턴 지음/김하락 옮김/청어람미디어/44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세계보건기구는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1만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는 지난해 서아프리카에서 창궐하기 전 1989년 이미 미국의 수도 워싱턴DC 인근의 소도시 레스턴에서 발현한 적이 있다.

당시 필리핀에서 수입된 야생 원숭이 100마리가 계속 죽어 나가자 미국 육군 전염병의학연구소가 그 이유를 에볼라 바이러스의 변종 때문이라고 밝혔고, 미국 사회는 발칵 뒤집혔다. 미국 육군은 언론을 통제했고 특수기동대를 만들어 원숭이들을 살처분했다.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도, 치료약도 없었기 때문이다.

책은 당시 있었던 사건을 소설 형식으로 재구성한 논픽션이다. 논픽션 작가 리처드 프레스턴이 1985년 주간지 뉴요커에 연재한 기사를 바탕으로 1994년 미국에서 출간했다.

책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사촌 격인 마르부르크가 처음 발병한 1967년부터 레스턴에 에볼라가 출현하기까지 약 22년간의 바이러스 투쟁기를 당시 의료진과 군부대원, 감염 환자 등 관련자들을 인터뷰해 꼼꼼히 재구성했다. 논픽션인데도 등장인물에 대한 촘촘한 묘사와 긴장감 있는 전개로 마치 소설처럼 읽힌다. 리들리 스콧 감독이 이 책을 TV 미니시리즈로 제작하기로 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5-03-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