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본 독립운동가 부부의 육아일기

만화로 본 독립운동가 부부의 육아일기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11-04 17:36
수정 2016-11-05 01: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시 이야기/양우조·최선화 지음/박건웅 만화/우리나비/364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80여년 전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가 양우조, 최선화 부부가 첫 아이를 잉태했을 때다. 김구 선생은 “영양가 있는 걸 먹어야 우리 임정에 건강한 아이가 나온다”며 부부를 요릿집에 데려갔다. 부부는 ‘생선 맛이 난다’며 음식의 정체를 궁금해했지만 김구 선생은 끝까지 시치미를 뗐다. 뱀이라고 하면 먹지 않을까 봐서였다.

독립에 온 희망을 걸고 낯선 이국을 떠돌던 이들에게 아기의 탄생은 곧 조국의 미래였다. 양우조, 최선화 부부는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때이자 첫딸 제시가 태어난 1938년부터 광복 뒤 부산항으로 귀국하던 1946년까지, 8년의 기록을 ‘제시의 일기’로 남겼다. 요즘 웹툰이나 에세이로 인기를 끄는 ‘육아 일기’이자, 중국 전역을 헤치며 독립운동에 애쓰던 임정 인사들의 생생한 기록인 셈이다.

박건웅 만화가는 지금은 모두 세상을 떠난 이들의 이야기를 그래픽노블로 옮겨 극적인 ‘흑백 장편영화’ 한 편을 만들어냈다. 작가는 아기의 순간순간을 앙증맞게 포착해내면서도, 처연한 시대에도 의연함을 놓지 않았던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세심하게 되살려냈다.

일본기의 공습, 벼룩 떼, 홍역, 가난 등 이들에게 죽음과 생은 일상처럼 교차한다. 하지만 잔악한 포화 속에서도 대광주리에 누운 아기는 쌕쌕 달게 자고 쑥쑥 자라난다. 하루하루가 다른 제시의 몸짓과 옹알이는 부부에게 기쁨이자 위로다. 아이의 성장은 이들이 마주선 비극을 잊게 하고 희망을 품게 한다. ‘제시’라는 이름도 ‘아이가 자랐을 때 우리나라가 세계 속에서 당당하게 제 몫을 하기 바라는 마음’을 담아 붙인 것처럼.

‘제시가 언젠가 인생의 좌절에 부딪힐 때 우리에게 제시가 지녔던 소중한 의미를 기억해냈으면 좋겠다. 그리고 언젠가 제시가 이 일기를 발견했을 때 나는 제시가 얼마나 사랑받았는지…. 부모 된 이와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기쁨을 주었는지를 느낄 수 있길 바란다. 그리고 그 기쁨을 계속 전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159쪽)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11-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