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적이라도 나타날까, 긴장과 불안에 둥지 안팎을 수없이 드나들던 어미가 결심을 굳혔다. 평소 수평으로 날아가던 것과 달리 머리를 아래로 두고 뛰어내린다. 앙증맞은 새끼 두 마리가 어미의 시범을 막 관전한 참이다. 다음 순간, 어미가 보여 준 그대로 새끼가 뛴다. 기우뚱거리면서도 안간힘을 쓰며 전력을 다하는 모습이 안쓰럽고도 대견하다. 새끼가 부화하면 24시간 안에 둥지에서 뛰어내리는 호사비오리의 진귀한 이소(離巢) 장면이다.
새끼들이 세상에 처음 뛰어드는 이 장면을 만나기 위해 건축사이자 야생 조류 사진가 박웅씨는 6년째 백두산 아래 첫 동네 이도백하를 찾았다. 머리의 긴 댕기, 붉은색의 부리, 용을 닮은 옆구리의 비늘무늬 등 화려한 생김새 때문인지 호사(豪奢)비오리라 불리는 이 새는 지구상에 1000마리도 채 안 되는 멸종위기종이다. 국내에서는 천연기념물 448호, 중국에서는 국가 1급 보호동물로 분류돼 극진한 보호를 받는 호사비오리는 분단된 남북을 자유로이 넘나들고 백두산을 고향으로 삼는 습성이 우리 민족과 유독 연이 깊어 보인다. 저자는 ‘무한한 기다림’으로 포착해 낸 호사비오리의 짝짓기, 번식, 먹이 활동, 육아 등 다양한 모습을 사진과 기록으로 전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9-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