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손엔 코란, 한 손엔 칼.’ 서방 세계가 이슬람교의 호전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만들고 퍼뜨린 대표적 문구다. 요즘 지구촌 큰 문제인 테러와 난민도 걸핏하면 이슬람교와 연관짓기 일쑤다. 하지만 정작 이슬람은 ‘평화’의 뜻을 갖는다. 이슬람교와 그리스도교는 전혀 상관없고, 물과 불처럼 섞이지 못한 채 충돌할 수밖에 없는 유일신 종교들일까.
이슬람 실체를 알리는 데 앞장서 온 저자는 “이슬람과 그리스도교는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더 많다”고 말한다. 무슬림은 예수를 사랑하며, 심지어 예수를 믿지 않는다면 무슬림이 아니라고까지 말한다. 이슬람 경전 코란과 예언자 무함마드의 전승언행록 하디스, 그리고 2~8세기와 12~18세기 남겨진 무슬림 복음을 샅샅이 훑어 분석한 결과다.
‘예수가 무슬림이라고?’ 기독교인들에겐 도발적일 수 있는 책 제목이다. 하지만 책은 기존 인식을 철저하게 뒤집고 있다. 우선 코란에는 예수의 아랍어 이름인 ‘이사’가 무려 25번이나 등장한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단 네 번 언급되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횟수다. 이슬람 전승 속 예수가 기독교 경전의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도 놀랍다. “악을 뿌린 자는 후회를 거두어들일 것이다” 같은 구절이 대표적이다.
두 종교 간 차이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코란은 십자가형을 부정하고 예수가 하느님께 승천한 일이 예수가 예언자임을 증명해 준다고 본다. 그리스도교는 예수를 신격화해 하나님의 유일한 아들로 보지만 이슬람은 예언자 중 한 명으로 본다. 결국 ‘무슬림 예수’는 ‘위대한 예언자’의 위상에 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무슬림 복음은 어떻게 한 세계의 종교가 다른 세계의 종교에 속한 중심인물을 받아들이고 제 청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물로 인식하게 됐는지를 보여 주는 특별한 기록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2-0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