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속 이미지] 조선 시대 명당 233곳을 찾아서

[그 책속 이미지] 조선 시대 명당 233곳을 찾아서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4-25 21:04
수정 2019-04-26 07: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택지/서유구 지음/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644쪽/3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양주에 있으며 수락산 아래이다. 샘물과 바위의 경치가 빼어나다. 서울의 동쪽 요충지를 차지하여 가게와 객사(여관)가 줄지어 있다. 게다가 도성과 가까워 그곳에서 나오는 똥거름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흙이 비록 척박하지만, 농사를 지을 만하다.”

‘상택지’에 실린 경기 양주 ‘누원촌’에 관한 설명이다. 지금으로 치면 의정부시 장암동의 다락원 마을 인근으로, 상택지는 이곳을 살기 좋은 ‘명당’으로 꼽았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는 우리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개 분야로 나눠 113권 분량 백과사전 ‘임원경제지’를 냈다. 상택지는 이 가운데 일부로, 2권 1책 분량이다. ‘집터 살피기’, ‘전국의 명당’ 등 풍수지리학에 기초해 살기 좋은 곳과 피해야 하는 곳을 알려 준다. 살 곳을 정할 때 지리적 요소, 물과 흙, 그리고 마을의 ‘인심’까지 고려하라 조언한다. 누원촌을 비롯해 전국 명당 233곳을 대동여지도로 보여 주고 명당인 이유를 소개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처럼 당시와 지금이 많이 다르지만, 과거 명당을 현재에 대입해 살펴보는 일이 나름 재밌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4-2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