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제1 무역항 치타공 시내에 있는 롱기파라 어시장에서 한 여자아이가 생선과 새우를 팔고 있다. 파란색 플라스틱 상자 위에 얹어놓은 상품이 조악하기 짝이 없다. 그러나 어엿한 장사꾼은 약간의 돈이라도 벌 수 있을까 기대한다. 무슬림 사회라 여성 판매상이 없지만, 여자아이가 생선을 팔고, 남자아이가 떨어진 생선을 주우러 다니는 풍경은 이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세계의 어시장’은 주강현 국립해양박물관장이 10년 동안 인도양, 아라비아해, 벵골만을 비롯한 세계 8개 권역 곳곳의 어시장을 답사하며 찍은 사진 140점을 수록한 사진집이다. 분주한 어시장 상인들과 세계 곳곳의 다양한 물고기를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단순히 짠내 나는 어시장 풍경과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단편적인 생활상만 보여주는 건 아니다. 어시장 형성 과정이라든가 어시장만의 특징 등을 권역별로 설명한다. 예컨대 롱기파라 어시장은 다른 지역과 달리 물고기가 크고 종류도 다양하다. 인도 콜카타, 미얀마 시트에로 연결되는 이른바 ‘벵골만 황금 삼각지대’의 다른 꼭짓점이기 때문이다. 사진과 글에서 인문학 내음도 물씬 풍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0-1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