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으면 좋다고 말하며 살고 싶다”… 무심한 듯 따뜻한 아홉편의 단편

“좋으면 좋다고 말하며 살고 싶다”… 무심한 듯 따뜻한 아홉편의 단편

이슬기 기자
입력 2019-11-28 22:42
수정 2019-11-2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사람을 위한 마음/이주란 지음/문학동네/304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내게는 가장 곤란한 소설이었다. 이 소설에 대한 지지를 결코 철회할 수 없다고 느끼면서도 이것이 왜 수상작이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올해 젊은작가상 심사를 맡았던 권희철 문학평론가는 이주란의 소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평론가가 소설이 좋은 이유에 대해 말할 수 없었던 까닭은, 아무래도 매료됐기 때문일 터다. 매료되면, 입이 얼고 손이 언다.

지난해 김준성문학상, 올해 젊은작가상을 수상한 이주란 작가의 새 소설집 ‘한 사람을 위한 마음’은 책으로 볼 때에만 빛 발하는 전형적인 한국 문학의 단편 작법에 충실한 책이다. 담담한 듯하지만 위트가 번쩍이고, 무심한 듯하면서 온기가 느껴지는 이야기들. 처한 환경은 척박할지언정 나 자신은 단단하게 추스르며 가는 인물들, 나와 남의 빈자리를 채우지는 못해도 어루만질 수는 있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책에 수록된 아홉 편의 단편 가운데 몇 개는 등장인물의 이름이 겹쳐 연작소설로도 느껴진다. 그러나 크게 서사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별개로 읽든, 하나로 읽든 상관없으며, 철저히 머리를 굴려 가며 읽어야 하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소설에서 가장 반짝이는 부분은 담담하게 불쑥불쑥 뛰쳐나오는 화자의 다짐 또는 선언들이다. 코드가 맞는 사람이면, 양궁에서 정중앙 명중을 가리키는 ‘골드 텐’일 거다. 가령 이런 부분들. ‘그가 스웨덴으로 갔다는 소식은 M에게 들었다. (중략) 복지국가… 불법체류… 복지국가… 불법체류… 어떤 면에선 멋진 선택이라고 생각했지만 무언가 의문이 남았다.’(85쪽, ‘멀리 떨어진 곳의 이야기’) 오랜 사이지만 어딘가 모르게 밉살스러운 친구와의 대화는 이렇다. “너도 얼른 누구 만나서 결혼해.” “누구?” “그야 나는 모르지.” “모르면서 왜 그런 말을 해.”(24쪽, 한 사람을 위한 마음)

“자신 없으면 자신 없다고 말하고 가끔 넘어지면서 살고 싶다. 미안하면 미안하다고 말하며 살 것이다.” 소설 속 화자 따라 이런 마음 하나 품으니, 갑자기 세상사가 급 심플하게 느껴진다. 이를 이주란의 소설에 그대로 적용하면 “좋으면 좋다고 말하며 살고 싶다”가 될 것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11-29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