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앞만 보며 내달린 그대에게…조금 천천히 가도 괜찮아요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앞만 보며 내달린 그대에게…조금 천천히 가도 괜찮아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1-09 22:14
수정 2020-01-10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 일간지 기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아내가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자 ‘교수 남편으로 살 수 있겠지’라며 막연한 꿈을 품고 미국으로 건너갑니다. 12년간의 기자 생활에 지칠 대로 지쳐 있던 터였고, 기러기 아빠여서 아이들도 그리웠기 때문이었지요. 김선우 전 동아일보 기자의 ‘40세에 은퇴하다’(21세기북스)는 이후 겪는 좌충우돌을 쓴 책입니다.

처음엔 제목만 보고 뻔하디뻔한 재테크 책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웬걸, 돈을 버는 내용이 아니라 안 쓰고 줄이는 내용을 담은 짠내 나는 책입니다. 아내는 “교수는 되고 싶지 않다” 선언하고, 초조해진 저자는 농장에 취업합니다. 안 하던 육체노동을 하려니 손목이 나가버렸습니다. 한 달 만에 그만둡니다. 기자일만 하던 터라 창업은 꿈도 못 꿀 지경입니다.

그제야 지난 삶을 돌아봅니다. 부모님 말씀대로 공부 열심히 하고 좋은 대학 나와 번듯한 직장에 다니는 게 전부가 아니었다고 깨닫습니다. 그래서 은퇴합니다.

돈 쓰는 일을 최대한 줄입니다. 살던 집은 세를 놓고 시골로 이사합니다. 집 앞 밭에서 농작물을 키워 자급자족하고, 저렴한 옷 몇 벌로 생활하고, 이발도 스스로 합니다. 스마트폰은 던져버리고, 전자레인지도 안 쓰는 그야말로 ‘청산별곡’이 펼쳐집니다.

저자의 삶을 읽다 보면 ‘이렇게 살아도 문제없을까´ 이런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말합니다. “문제없을뿐더러 아주 좋다”고. 남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아갑니다. 그는 밤하늘의 쏟아지는 별을 바라보며 양치질할 수 있는 환경에, 아이들과 함께 뒹굴고 책 읽는 삶에 희열을 느낍니다. 그렇게 6년간의 생활을 책에 담았습니다.

지난해 지친 삶을 내달린 이들에게 새해를 맞아 조심스레 권해 봅니다. 이런 삶도 가능하구나, 아예 내려놔도 잘 살 수 있구나 싶은 생각이 들 겁니다. 새해엔 저도 전부는 아니더라도 조금은 내려놓을까 합니다. 한 걸음 더 천천히 간다 해도, 그리 늦는 것은 아닐 겁니다.



gjkim@seoul.co.kr
2020-01-10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