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펼치니 생생한 애니메이션이...국립중앙도서관 ‘실감서재’ 개관

책 펼치니 생생한 애니메이션이...국립중앙도서관 ‘실감서재’ 개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3-22 14:00
수정 2021-03-22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서관 검색의 미래, 인터랙티브 지도 등 콘텐츠...23일부터 예약제로

도서관 이용자들이 실감서재 콘텐츠 중 하나인 도서 검색의 미래 를 체험해보고 있다. 김기중 기자 gjkmi@seoul.co.kr
도서관 이용자들이 실감서재 콘텐츠 중 하나인 도서 검색의 미래 를 체험해보고 있다. 김기중 기자 gjkmi@seoul.co.kr
‘무예도 보통지’(1790)를 펼치니 책 오른편에서 창을 든 무사가 등장해 허공에 창을 휘두른다. 종이가 베인 것 같은 효과에 깜짝 놀라 책을 손으로 만져보지만 멀쩡하다. 옆에 놓인 허준의 ‘동의보감’(1613)을 펼치자 거북 위에 올라탄 토끼가 왼쪽 아래에서 튀어나와 무언가를 던진다. 오른편으로 그림이 옮겨지더니 몸에서 가장 큰 장기인 ‘간’을 설명하는 그림이 나온다. 토끼의 간을 주제로 한 ‘별주부전’을 차용한 애니메이션 효과였다. 종이 책 위에 프로젝터로 영상을 쏘아 구현한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사용한 ‘디지털 북’ 기술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이 22일 기자들에게 먼저 선보인 ‘실감서재’는 미래 도서관의 모습이라 할 만했다. 디지털도서관 지하 3층에 마련된 공간에 도서관 자료 일부를 그저 눈으로만 보는 게 아닌, 조작해보고 경험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로 채웠다. 체험공간은 크게 도서관 검색의 미래, 인터랙티브 지도, 디지털북, 수장고 3차원(3D) 영상 등 4개로 구성했다.

도서관 자료를 역동적으로 검색하고, 결과를 다른 관람객과 공유할 수 있는 ‘검색의 미래’가 특히 눈길을 끈다. 평평한 탁자 위로 가상 스크린을 펼쳐놓고 자료를 검색해 대형 스크린으로 보낼 수 있다. 다른 이용자가 찾은 검색 결과를 연동하면 카테고리를 만들어준다.

예컨대 ‘한국문학’을 눌러 올라온 김기림, 윤석중, 현진건, 이광수 등 작가들 목록을 손가락으로 움직여 김기림을 선택했더니 ‘길’, ‘시의 이해’ 등의 책 표지가 연이어 떴다. 일단 이 작품을 ‘내 서가에 저장’해놓고, ‘대형 월로 보내기’를 클릭했더니 옆쪽 대형 모니터에 책 표지가 올라간다. 이 화면엔 다른 이용자가 찾은 책 표지도 함께 나타나더니 일정한 기준으로 묶인 정보가 선으로 연결된다. 시스템을 만든 유비더스시스템의 윤승식 대표는 “협업과 공유를 통해 이용자들이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국립중앙도서관의 미래 수장고 모습을 3차원 영상으로 제작해 대형 화면으로 현실감 넘치게 보는 ‘수장고 체험’을 해볼 수 있다. 실물 책은 돋보기로 찾아봐야 보이지만, 대형 터치 스크린으로 애니메이션과 각종 자료를 첨부해 구현한 ‘인터랙티브 지도’도 흥미롭다.

이날 개관 행사에는 황희 문체부 장관과 서혜란 국립중앙도서관장을 비롯해 문화·예술 분야, 도서관계 인사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황 장관은 축사에서 “우수한 문화자원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문화 관련 국·공립시설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 관장은 “실감서재를 통해 도서관이 보유한 귀중한 지식문화자원을 매년 새로운 실감 콘텐츠 형태로 선보일 것”이라며 “우리나라 지식문화자원을 다채롭고 재미있게 소개하는 새로운 브랜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실감서재는 23일부터 도서관 홈페이지(www.nl.go.kr) 사전 예약자에 한해 관람할 수 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