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려고 사는 삶, 나라마다 다 달라요

행복하려고 사는 삶, 나라마다 다 달라요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9-02 22:20
수정 2021-09-03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행복의 지도/에릭 와이너 지음/김승욱 옮김/어크로스/528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스위스 사람들은 농담을 잘 하지 않는다. 딱딱하고 지루하다. 영화 ‘리스본행 야간열차’(2013)에서 스위스 베른의 고등학교 교사인 주인공 그레고리우스(제러미 아이언스 분)가 진작에 고백했다. “농담도 못하는 지루한 사람”이라고. 유머도 없다. 17세기 바젤에선 웃음을 금지하는 법까지 있었다고 한다.

스위스 사람들은 가늘고 긴 삶을 산다. 바닥을 파 보는 일도 없고, 천장에 닿을 만큼 높이 올라가는 일도 없다. 비싼 차에 고대광실을 과시하는 법도 없다. 돈이 없는 건 아니다. 다들 부자다. 그런데 왜? 다른 이의 시기심을 싫어해서다. 억만장자도 스스로를 산골사람이라고 생각한단다. 한참 자기애가 무르익은 사람이나, 시끌벅적하게 성공을 드러내길 즐기는 이들로선 이처럼 남을 의식하는 삶이 당최 이해가 되지 않을 터다. 그렇지만 행복의 척도를 재는 어떤 조사에서도 스위스는 늘 톱이다. 스위스인들은 행복의 비결을 알고 있는 게 틀림없다. 그게 뭘까.

‘행복의 지도’는 각국을 여행하며 행복이란 주제를 통찰한 여행 산문집이다. ‘그곳에서 살면 내 인생이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엉뚱한 상상이 발단이 돼 돌아본 경험들이 담겼다. 국가가 국민 행복 총량을 높이는 정책을 펴는 부탄, 국민에게 어지간한 월급쟁이 연봉보다 많은 용돈을 나눠 주는 카타르, 실패가 권장되는 나라 아이슬란드, 지구에서 가장 덜 행복한 나라 몰도바, 모순덩어리 인도, 유럽의 여러 나라와 저자의 고향 미국 등 행복의 본질을 찾아 돌아본 나라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저자는 기자 출신이다. 세계의 빈국을 돌며 묵직한 주제들을 주로 썼는데, 이 책은 다르다. 방송사에서 예능 프로그램 작가 ‘알바’라도 했는지, 글이 재밌고 차지다. 저자가 보여 주는 건 행복의 본질이나 조건이 아니라 ‘행복의 다양한 얼굴들’이다. 결론이 다소 무지근하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곳곳에서 만나는 유머와 예리한 통찰은 이를 상쇄하고도 남는다. 2008년에 이은 개정판이다.



2021-09-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