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 체육관에서 열린 장애인시설 연합 운동회에서 만난 다운증후군 남성들의 모습이다. 휠체어에 앉은 이를 향해 친구가 반갑게 다가온 뒤 서로 ‘토옹토옹’ 어깨를 두드리기도 하고 팔을 뻗어 ‘타앙타앙’ 리듬을 내며 푹 끌어안았다. 그러고는 5분이 넘도록 속닥이고 키득거리며 즐거워했다. 그들의 체온과 몸의 리듬, 표정과 작은 행동 모두가 다정한 목소리가 된 순간을 포착했다. 농인 사진가인 저자는 보청기와 발음훈련에 의존했지만 타인과 진심이 닿는 대화를 할 수 없던 어린 시절을 보냈다. 고등학교를 농학교로 진학하면서 보청기를 빼고 수어를 통해 비로소 진심 어린 소통을 하게 됐고 이후 더욱 다양한 몸의 언어와 감각을 만나 카메라에 담았다. “대화란 서로 이해하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할 수 없는 다름을 받아들이면서 관계를 맺기 위한 행위”라는 그의 말이 따뜻하고 섬세한 글과 사진들에 고스란히 담겼다.
2022-01-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