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타고… 식민지 시대 경성 ‘커피 맛집’을 가다

타임머신 타고… 식민지 시대 경성 ‘커피 맛집’을 가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5-11-07 01:01
수정 2025-11-07 01: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성의 핫플레이스
박현수 지음/성균관대 출판부
224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드러가도 조흔지 안 조흔지 한참 망설거렷다. 산가치 싸인 물건이 요지경 속 가티 조키도 하지만은 고루고루 보자니 눈이 뻑뻑해진다.……식당 압헤 느려노은 음식 먹고 십기는 하나 일흠도 모르거니와 첫재 갑슬 몰라 겁이 나서 못드러가 먹겟다.”

식민지 시대 인기를 끌었던 월간 잡지 ‘별건곤’ 1932년 4월호에 실린 ‘소대가리 京城(경성) 싀골학생이 처음 본 서울, 在京初日記(재경초일기)’라는 글에 등장하는 미쓰코시 백화점의 풍경이다. 미쓰코시 백화점은 지금도 만날 수 있는데, 바로 서울 신세계백화점 본점이다.

박현수 성균관대 교수는 식민지 시대 소설을 통해 당시 가장 인기가 많았던 경성의 ‘핫플레이스’를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간 듯 생생하게 보여 준다. 저자가 고른 경성 핫플레이스 8곳은 경성의 관문인 경성역, 종로 최고의 영화관 우미관, 밤 벚꽃 구경의 최고 명소 창경원, 소설가이자 시인인 이상이 운영한 다방 제비, 그리고 미쓰코시 백화점, 경성 최고의 커피 맛을 자랑한 명치제과, 조선 유일의 18홀 골프장인 군자리골프장, 다양한 놀거리가 있었던 한강 유원지다.

일제 식민지 시대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친일과 항일로 이분화된 상황을 떠올린다. 하지만 실제 수많은 소시민은 그저 하루하루 ‘일상’을 살아갔다. 당시 시대상과 인간 군상을 보고 싶다면 일반인들이 만들어 낸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일상의 삶을 그대로 드러낸 소설을 들춰 보면 된다. 이태준의 ‘청춘무성’에는 명치제과를 방문해 커피와 과자를 먹는 주인공과 친구들이 등장하고,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에는 식민지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게 화려하고 세련된 디저트 카페 가네보 프루츠팔러 같은 공간도 등장한다.

박 교수는 “식민지 시대 경성은 아시아에서 일본 도쿄 다음가는 도시였다”며 “식민지 시대 소설은 그런 경성의 핫플레이스를 방문하는 인물들의 생동감 있는 모습과 공간의 다채로운 특징까지 엿볼 수 있는 타임머신”이라고 설명했다.
2025-11-0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