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보가 함께 쓴 130년 한국기독교史

보수·진보가 함께 쓴 130년 한국기독교史

입력 2013-08-22 00:00
수정 2013-08-22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NCCK, 주제 100개 추려 책 출간

한국 기독교 130여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이 출간됐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지난 20일 펴낸 ‘기독교, 한국에 살다’가 그것. 한국 기독교에서 눈여겨볼 주요 장면과 주제 100개를 선정해 묶었다. 그동안 개별 교단·교회에서 한국 개신교사를 더듬은 책은 있었지만 교단 연합체가 한국 개신교의 공과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책은 개신교계에서 건립을 추진 중인 한국기독교역사문화관의 자료적 토대. ‘근대화에 기여한 기독교’에 초점을 맞춰 교육·의료·종교·여성·문화·민족민중이라는 6개의 큰 주제에 시대별 요소를 더해 세부 주제 100개를 추렸다. 기독교의 고등교육 사업, 국민건강과 선교를 함께 아우른 의료사업, 기독교와 애국독립운동, 한국YMCA와 근대 스포츠 발전 등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문제를 명쾌하게 정리했다.

무엇보다 보수·진보를 아우르는 집필진이 눈에 띄는 부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한국교회사학회·NCCK의 추천을 통해 꾸려진 집필자 11명(위원장 임희국 장신대 교수)은 모두 진보·보수 진영을 통틀어 교단에서 촉망받는 전문 학자들이다. 이들이 1년 이상 힘을 모아 세상에 내놓은 책인 만큼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한 것이 특징이다. 신사참배를 비롯해 이승만 정권과의 유착, 5·16쿠데타 지지, 한국교회의 분열과 성장주의의 만연 같은 한국 개신교의 큰 과오와 치부를 함께 적시하고 있다. “우리가 경계한 것은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공헌한 바를 자랑하고픈 의도가 있지 않은가였다.” 책 머리말에 적은 임희국 집필위원장의 말이 책의 성격을 또렷이 보여준다. 22일 오후 3시 서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교회 프란시스홀에서 출판 기념회가 열린다. (02)763-7323.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2013-08-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