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구의 <사과나무로 가는 길>이란 시를 택한 건 “사과 속 한가운데에 / 그런 신기한 블랙박스가 들어있다”는 마지막 구절에 반해서였다. 사과 속 한가운데에 있는 씨앗을 ‘블랙박스’로 본 것이 신통하다. 참신한 상상력을 엿보이게도 했다.
블랙박스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행 사고의 원인과 경위 등을 밝히는 데 자료가 될 수 있는 기기다. 사고 당시의 비행고도, 기수의 방위, 엔진상황, 조종사들의 대화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과와 아무 관계없는, 비시적인 과학용어로 시적인 자연현상을 구체화 한 것인데, 시를 읽는 또 다른 재미도 갖게 한다.
‘길’이란 말은 우리에게 늘 익숙하다. 인간의 삶과 더불어 만들어지고 존속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시의 소재로 길이 많이 쓰여 온 것도 이 친숙함 때문이다. 만들어진 길은 사람이나 짐승의 왕래를 쉽도록 해주는 것이다. ‘사과나무로 가는 길’은 그러니까 사과의 생성과정 이야기인데, 그 과정이 사과 속 한가운데 있는 신기한 블랙박스, 곧 씨앗에 모두 저장돼 있다는 주장이다. 감미로운 자연 현상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사과나무가 자신의 길을 따라 움직여가는 것처럼 기술한 <사과나무로 가는 길>.
잎과 꽃과 열매 등 사과나무의 계절적 변화를 그리는 방법도 섬세하다. 이미지 시의 정통적인 기법을 수행하고 있어 다소 고루하고 상식적이란 인상이 있다. 하지만 이런 접근이 오히려 좋게 느껴지기도 한다.
시 속에는 “사과 꽃 피는 사월 스무날이 올 때까지’”란 구절이 나온다. 왜 하필이면 사과 꽃이 그날 핀다고 했느냐고 물었더니 어렸을 때 사별한 큰 누나의 기일이 그날이어서, 흐드러지게 핀 사과 꽃이 늘 아픈 기억으로 떠올라 와서 쓴 것 같다고 했다.
올해 예순넷이 된 그는 시집 《눈 속의 푸른 풀밭》 《햇빛의 길을 보았니》와 최근 《쥐똥나무가 좋아졌다》를 낸 바 있다. 그는 또 작년서부터는 시간에 대한 시들을 쓰고 있는데 힘이 닿는 한 거기에 더욱 천착하고 싶다고 했다.
글_ 이유경 편집주간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