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DJ에게 “만나 뵐 수 있어 기쁘다”

카터, DJ에게 “만나 뵐 수 있어 기쁘다”

김우진 기자
김우진 기자
입력 2025-01-07 17:47
수정 2025-01-08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2년 전 첫 만남 즈음 서신·육성 공개
김대중도서관 “두 지도자 연대·헌신
한국 현대사·세계사에 중요한 가치”

이미지 확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42년 전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보냈던 친필 서신이 7일 공개됐다(왼쪽 사진). 1983년 2월 26일 당시 미국 망명 중이던 김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카터 전 대통령은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만나길 바란다”고 썼다. 오른쪽 사진은 두 사람이 1983년 3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에모리대에서 열린 김 전 대통령 환영 행사에서 처음 만난 모습.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42년 전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보냈던 친필 서신이 7일 공개됐다(왼쪽 사진). 1983년 2월 26일 당시 미국 망명 중이던 김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카터 전 대통령은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만나길 바란다”고 썼다. 오른쪽 사진은 두 사람이 1983년 3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에모리대에서 열린 김 전 대통령 환영 행사에서 처음 만난 모습.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우리는 항상 당신을 존경해 왔다. 특히 당신의 인권 정책을 존경해 왔다.”(김대중 전 대통령)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향한 진보가 현재 정치 지도자뿐 아니라 야당의 노력으로 증진됐다고 믿는다.”(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1983년 3월 30일 김 전 대통령과 카터 전 대통령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에모리대에서 처음 대면해 이런 대화를 나눴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 뵐 수 있어 기쁘다”는 인사를 김 전 대통령에게 건넸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정치적 탄압을 피해 미국 망명 생활을 하던 중이었다.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 7일 공개한 자료는 김 전 대통령이 1982년 12월 미국으로 망명한 후 다음해 2월 26일까지 카터 전 대통령과 주고받은 친필 서신, 두 사람의 만남 당시 음성 자료 등이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미국 망명 중이던 1983년 당시 김 전 대통령과 카터 전 대통령 간의 관계를 보여 준다.

카터 전 대통령은 1980년대 전두환 신군부 아래 사형선고를 받은 김 전 대통령을 위해 구명 운동에 나서는 등 한국 내 인권 문제에 관심을 보였고 퇴임 후에도 한국과의 각별한 인연을 이어 갔다. 1977년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 한국의 유신 정권과 긴장 관계를 유지하면서 김 전 대통령에게는 만남의 손길을 내밀었다.

두 사람이 주고받은 서신과 대화에도 서로에게 보인 존경과 우애가 고스란히 담겼다. 약속이 불발되자 카터 전 대통령은 “이번 주에 만나 뵙지 못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그러나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다시 일정을 조율해 만나 뵙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도서관 측은 “이번에 공개된 사료는 두 지도자가 보여 준 국제적 연대,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한 헌신의 상징성을 잘 드러낸다”며 “두 지도자의 관계는 한국 현대사뿐 아니라 세계사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100세의 나이로 영면했다.
2025-01-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