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현 베트남 출신 통번역센터장
의사 말 못 알아듣고 “네네”만병원ㆍ법원서 불이익 없게 도와

김나현 이주민통번역센터 센터장
부산에 있는 이주민통번역센터 ‘링크’의 김나현(51) 센터장은 최근 의료진의 다급한 전화를 받았다. 베트남 산모가 곧 출산할 것 같은데 말이 안 통한다는 내용이었다. 곧장 부산대병원으로 달려간 김 센터장은 분만실로 들어가 “힘주세요”, “숨 쉬세요” 같은 의료진의 말을 실시간으로 통역하며 출산의 순간을 함께 맞이했다.
김 센터장은 4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주민들이 법원이나 병원에서 언어 때문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통역을 하고 있다”며 “통역은 이주민과 한국 사회를 언어로 연결해 주는 다리”라고 말했다. 베트남 출신인 김 센터장은 1995년 한국에 산업 연수생으로 입국해 1998년 귀화했다. 2007년 부산의 시민단체 ‘이주민과 함께’에서 상담과 통역 업무를 하다 2019년부터 이 단체의 독립 부설기관인 이주민통번역센터장을 맡고 있다.
센터는 16개국에서 온 이주민 통역 활동가 48명과 한국에 온 이주민을 연결한다. 일주일에 100명 정도의 이주민이 센터의 문을 두드린다. 주로 법원·병원·출입국관리사무소·주민센터 등 전문 용어 사용이 많고 정확한 소통이 필요한 기관을 방문할 때 활동가가 동행한다. 김 센터장은 “처음 법원으로 재판 통역을 나갔을 때는 ‘집행유예’라는 단어의 뜻을 몰라 판사에게 다시 물어보기도 했다”며 “그때 너무 부끄럽고 미안해서 집에 오자마자 법률 용어를 열심히 공부했다”고 전했다.
한국어가 능숙한 김 센터장도 30년 전 처음 한국에 왔을 때는 말 한마디를 꺼내지 못했다. 두꺼운 사전을 달달 외우며 혼자 공부하다 한국인 남편을 만난 뒤부터 한국어 실력이 많이 늘었지만 병원에서 의사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 “네, 네”라는 대답만 하던 시절도 있었다. 자신과 같은 불편을 겪는 이주민을 위해 통역 업무를 시작했다고 한다.
김 센터장은 한국에 오는 이주민의 국적이 다양해지는 만큼 더 많은 언어를 한국어로 통역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이주민의 ‘입과 귀’가 되겠다”고 말했다.
2025-08-0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