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대모산성서 1500년 전 ‘목간’ 나왔다

양주 대모산성서 1500년 전 ‘목간’ 나왔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11-21 00:18
수정 2025-11-21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국시대 추정… 국내 最古 가능성
‘기묘’ 글자 등 확인 학계서 주목

이미지 확대
경기 양주 대모산성에서 출토된 약 1500년 전인 삼국시대 때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
경기 양주 대모산성에서 출토된 약 1500년 전인 삼국시대 때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


경기 양주 대모산성에서 약 1500년 전인 삼국시대 때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글씨를 쓴 나무조각) 3점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목간 가운데 가장 오래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양주시와 재단법인 기호문화유산연구원은 올해 5월부터 양주 대모산성에서 진행한 제15차 발굴 조사를 통해 목간 3점을 새롭게 찾아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목간은 물을 모아 두던 성안 집수 시설에서 나왔다. 백제가 한성에 도읍을 둔 시기(기원전 18~ 475년) 유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기 조각 등이 지층에서 함께 출토됐다. 목간 주변에서는 점뼈, 즉 점을 치는 데 쓰던 복골(卜骨)도 여럿 나왔다. 토기를 비롯한 유구 대부분은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학계는 ‘기묘’(己卯)라는 글자가 보이는 목간에 주목하고 있다. 함께 출토된 유물을 고려하면 기묘년이었던 439년 혹은 499년 등을 지칭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간 학계에서는 서울 몽촌토성에서 출토돼 551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목간을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 왔다.

나머지 목간 2점 역시 연구 가치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뒷면을 합쳐 20자 이상 적혀 있는 목간의 경우 주검이나 시체를 뜻하는 ‘시’(尸) 자 아래에 여러 글자가 있으며 ‘천’(天), ‘금’(金) 자도 보인다.

‘금물노’(今勿奴) 글자가 확인된 목간도 주목된다. 역사서 ‘삼국사기지리지’에는 ‘흑양군은 본래 고구려 금물노군이었는데, 경덕왕(재위 742~765년)이 이름을 고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흑양군은 현재 충북 진천 일대로 여겨진다.

목간학회 관계자는 “고구려계로 알려졌던 지명이 백제 토기와 함께 발견된 목간에 등장한 것”이라며 “그간의 학계 통설을 뒤집을 수도 있는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2025-11-21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