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르네상스 글로벌 현장] 1951년 美서 첫 전력생산 성공

[원자력 르네상스 글로벌 현장] 1951년 美서 첫 전력생산 성공

입력 2010-07-26 00:00
수정 2010-07-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자력 발전의 역사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났지만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개발 경쟁은 계속됐다. 이 과정에서 소련과 서방의 과학자들은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열 에너지를 폭탄이 아니라 전기 생산에 쓸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원전 발전량 60%가 PWR방식

이미지 확대
상업용 발전은 1953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당시 미국 대통령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주창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최초의 원자력 발전은 1951년 미국에서 성공했다. 아이다호 국립원자력시험장에 설치된 실험용 증식로(EBR-1)에서 처음 전기가 생산됐다. 3년 뒤 소련이 5000㎾급 오브닌스크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했고 1956년에는 영국이 세계 최초로 콜더홀이라는 상업용 발전소를 가동했다.

각 국은 저마다 주력 원전을 채택해 서로 다른 길을 걸었다. 미국은 잠수함의 추진 동력으로 개발한 가압경수로(PWR)와 비등경수로(BWR)를 주력으로 삼았다. 영국은 가스냉각로 개발에 집중했고 캐나다는 압력관식 중수냉각로(CANDU)를 채택, 이 분야의 종주국이 됐다. 현재 대부분의 나라가 미국식 가압경수로를 채택해 세계 원전 발전량의 60%가 PWR, 21%가 BWR 방식이다.

●90년대 후반 한·일서 큰 성장

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과 1986년 소련 체르노빌에서 대형 원전 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원자력 산업은 1970년대부터 2002년까지 침체기를 맞는다. 1970년대에는 대부분의 원전 주문이 취소됐고, 1980년대 중반부터는 신규원전 거래가 뚝 끊기다시피 했다. 그럼에도 원자로의 용량이 3분의1 이상 증가한 덕분에 전기생산 효율은 60% 증가했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중반 원자력이 전 세계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17%에 이르렀다.

1990년대 후반에는 한국과 일본의 원전 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원자력 부활을 예고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7-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