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2>] 우울증·자살 충동… ‘양심’들의 소리없는 고통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2>] 우울증·자살 충동… ‘양심’들의 소리없는 고통

입력 2014-01-15 00:00
수정 2014-01-15 04: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부고발자 일부 장애 판정

공익제보자 대부분이 내부 고발 이후 불면증, 거식증, 자살 충동 등 심각한 우울증 증상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서울신문이 공익제보자 35명을 만나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전원이 ‘내부 고발을 하고 난 뒤 심적으로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공익제보 이후 이상 증세를 겪어 정신과 진료 등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회사의 부실 시공 문제를 고발했던 한 공익제보자는 “내부 고발 이후 스트레스와 우울증으로 항정신성 약물을 투여한 적이 있다”면서 “잠도 안 오고 사람들이 무서워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익제보자도 “정신과를 한 달에 두세 번 간 적도 있다”면서 “술도 많이 먹게 됐고 굉장히 신경질적으로 성격이 바뀌었다. 이로 인해 병원에서 정신지체장애 6등급 판정까지 받았다”고 털어놨다.

공익제보자들은 제보 이후 자신은 물론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함께 고통을 받게 돼 지인들과 연락이 끊기는 아픔도 겪고 있었다. 공익제보자 23명(65.7%)은 ‘내부 고발 이후 지인들과 연락이 끊겼다’고 응답했다. 또 공익제보자 가운데 28명(80%)은 내부 고발 이후 주변인들로부터 개인적인 원한이나 사적인 감정 때문에 고발했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내부 고발의 논리’를 쓴 박흥식 중앙대 사회과학대학 교수는 “공익제보 후 생명의 위협을 받은 제보자들은 사고 후에 나타나는 ‘외상 후 스트레스’에 버금갈 정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면서 “국가가 이들에 대한 정신과 상담 등 의료 서비스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탐사보도팀

2014-01-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