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 85점 > 非국공립 72점… 보육교사·환경이 만족도 갈라

국공립 85점 > 非국공립 72점… 보육교사·환경이 만족도 갈라

최지숙 기자
입력 2016-05-03 23:10
수정 2016-05-04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엄마들 어린이집 선호도 보니

“정원이 적은 데다 대기가 많아서…. 순번 돌아오려면 좀 더 기다리셔야 할 것 같아요. 연락드릴게요.”

경기 수원시에 사는 주부 이모(34)씨는 2년 넘게 애절한 기다림을 계속하고 있다. 이씨는 3일 “대학 원서를 접수했을 때도 이 정도로 초조하진 않았던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아이를 낳자마자 국공립어린이집에 보내고자 여기저기 입소 대기 신청을 걸어 놨다. 그러나 자녀가 3살이 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이씨는 ‘참을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물론 집 근처에 민간어린이집도 있다. 그는 “중간에 어린이집을 바꾸는 건 아이한테도 스트레스라 처음부터 보육 환경이 좋은 곳에 보내고 싶다”면서 “올해 한 군데쯤은 될 것 같아서 더 기다려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공립 안전 점검·비용 만족 13%P 높아

서울연구원이 2015년에 발표한 ‘서울시 공공사업 정책 효과의 분석’에 따르면 국공립과 비(非)국공립 어린이집의 종합 만족도는 5점 만점에 각각 4.28점(백분율 환산 85.6%), 3.60점(72.0%)으로 나타났다. 백분율로 따지면 국공립 만족도가 비국공립보다 13.6% 포인트 높다.

어린이집 만족도를 ‘서비스’와 ‘보육 환경’의 두 측면으로 나눠 평가해도 마찬가지다. 서비스 만족도는 국공립이 4.15점(83.0%)으로 나타나지만 비국공립은 3.46점(69.2%)으로 낮았다. 보육 환경 만족도 역시 국공립은 4.19점(83.8%)이었지만 비국공립은 3.50점(70.0%)으로 낮았다.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에 높은 점수

엄마들이 국공립어린이집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비스 측면에서 ‘보육 비용’이 1위로 꼽혔다. 국공립과 비국공립 어린이집 서비스 만족도 격차를 살펴보면 보육 비용이 0.88점으로 가장 큰 차이를 드러냈다. 비국공립의 경우 특별활동비가 더 많고 차액 보육료도 학부모가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육 환경에 있어선 ‘정기적인 안전 관리’ 측면이 0.75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국공립은 설치 기준이 엄격하고 안전사항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정기 점검이 의무화돼 있어 비국공립보다 안전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그러나 국공립어린이집만 놓고 봤을 때 무엇보다 가장 큰 만족 사유는 ‘보육교사의 친절·전문성’, ‘어린이집 분위기의 안정감과 친밀감’이었다. 부모들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 환경’ 측면에서 보육교사의 질 등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국공립을 선호하고 있었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민간 의존도를 극복하고 공적 영역에서 아이들을 돌볼 때 만족도 높은 보육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다”면서 “이것이 양질의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서울시가 노력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5-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