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美는 직접 안 보면 몰라 세계인들 평창서 매력 즐기길”

“한국의 美는 직접 안 보면 몰라 세계인들 평창서 매력 즐기길”

입력 2017-06-04 23:10
수정 2017-06-05 02: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커버댄스’ 참가자들이 본 한국

“동계올림픽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의 아름다움이 알려지면 좋겠네요.”
지난 1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7회 서울신문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본선 참가자들이 ‘세계의 중심 평창, 한류와 함께하다-토크 콘서트’에서 패널과 문답식 상호 토론을 벌이면서 박수를 보내고 있다. 평창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 1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7회 서울신문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본선 참가자들이 ‘세계의 중심 평창, 한류와 함께하다-토크 콘서트’에서 패널과 문답식 상호 토론을 벌이면서 박수를 보내고 있다.
평창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 1일 강원 평창군을 방문한 7인조 러시아 케이팝 댄스팀 ‘이그지스트’의 체레노바 옐타(22)는 연신 엄지손가락을 치켜들었다. 이그지스트는 러시아 예선에서 우승한 뒤 지난달 31일 제7회 서울신문 커버댄스 페스티벌 본선 참가를 위해 입국했다. 이후 평창동계올림픽 홍보 플래시몹을 찍기 위해 평창·강릉 등 관광명소 곳곳을 찾은 그는 “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한국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 수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평창동계올림픽 때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으로 건너와 이러한 광경을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남성 4명과 여성 3명으로 구성된 일본 명문 게이오대 출신 ‘나비’ 등 9개국 62명의 본선(2~3일) 참가자들은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직전 대회인 2014 소치동계올림픽이 치러진 러시아의 커셀료바 예카테리나(25)는 “소치동계올림픽 당시 경기장에 가지 못했지만 어디서 열리든 항상 동계올림픽을 TV로 챙겨 봤다”며 웃었다. 또 “이제 한국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린다니 벌써부터 기대된다”며 “다 같이 홍보 플래시몹을 찍은 게 평창에 작게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 성공적 마무리를 응원한다”고 말했다.

세이도바 디아나(27)는 “앞으로도 꾸준히 케이팝을 사랑할 것”이라며 밝게 웃었다. 이어 “방탄소년단과 같은 케이팝 아이돌 그룹은 멜로디와 안무를 아주 잘 짠다는 생각이 든다”고 치켜세웠다.

올 대회 최연소 참가자인 홍콩 남성 7인조 ‘프렌즈 정션 보이스’의 송헤이치(9)는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를 통해 처음 접한 뒤 케이팝에 흠뻑 빠지게 됐다. 한국에 와서 누나·형들과 같이 춤을 추니 매우 행복하다. 홍콩에 돌아가서도 계속 케이팝을 즐길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 방문은 네 번째이며 2년 연속 커버댄스 페스티벌에 참가한다는 필리핀 ‘YOU’팀의 안젤루(22)는 “한국에 올 때마다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어서 너무 좋다”고 말했다. “첫 방문 때는 조금 긴장했지만 이번엔 항상 미소를 짓거나 손을 흔들어 줘 환영받는 느낌”이라는 소감도 빼놓지 않았다.

평창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7-06-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