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유출 막는다”… 30년 숙원 ‘창원 의과대학 설립’ 총력

“인재 유출 막는다”… 30년 숙원 ‘창원 의과대학 설립’ 총력

강원식 기자
입력 2023-06-09 02:26
수정 2023-06-09 0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치 TF 국회 토론회·서명운동
청년들 타도시 진학에 원정진료
“의료 서비스 불균형 해소 꼭 필요”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경남도, 창원시가 공동으로 주최해 개최한 창원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의과대학 유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창원시 제공
지난 3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경남도, 창원시가 공동으로 주최해 개최한 창원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의과대학 유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인구 100만명이 넘는 대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의대가 없다. 경남에도 의대는 서부권인 경상국립대 한 곳밖에 없다.

8일 창원시에 따르면 활동하는 의사 가운데 53%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서울 4.7명, 전국 평균 3.1명인데 창원은 2.8명, 경남은 2.5명에 그친다. 창원시는 의대가 없어 인재가 빠져나가고 서울 등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떠나는 인원도 한해 2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의과대학 설립 숙원을 이루기 위해 총력을 쏟는다. 지난 1월 ‘의과대학 창원 유치기획단(TF)’을 설치했다. 지난 3월 13일 지역 국회의원과 도·시의원, 경제계, 의료계, 교육계, 시민단체 등 각계 180여명이 참여하는 ‘창원 의과대학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출범하고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창원 의과대학 설립 전국 공론화를 위해 지난 3월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범시민추진위와 창원시는 다음달 시민 30만명의 서명을 받아 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경남도·창원시의회도 지난 3월 의과대학 설립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다. 경남 시·군의장협의회도 지난달 11일 건의문을 채택해 힘을 보냈다.

창원지역 의과대학 설립 요구는 30년 전부터 시작됐으나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동결 방침 등에 막혀 모두 무산됐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홍남표 창원시장은 “기존 진주 경상국립대 의과대학의 창원캠퍼스를 설치하거나 창원대에 의대 신설, 창원 한마음병원의 의대 신설 등 어느 쪽이든 창원에 반드시 의대가 설립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의료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하고 인재 유치, 의료·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의대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3-06-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