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기후위기 재난으로 규정… 국방 수준의 강력 대응 필요”[최악의 산불,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산불, 기후위기 재난으로 규정… 국방 수준의 강력 대응 필요”[최악의 산불,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5-04-01 23:49
수정 2025-04-02 1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불 전문가’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

이미지 확대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지난달 27일 화마가 휩쓸고 간 경북 안동 어담리 현장을 살펴봤다. 본인 제공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지난달 27일 화마가 휩쓸고 간 경북 안동 어담리 현장을 살펴봤다. 본인 제공


“25년간 산불 현장을 다녔지만 이렇게 확산이 빠른 건 처음 봤습니다. 손으로 모래를 뿌리듯이 불똥이 하늘로 튀어 올라 강풍에 날리는데 ‘여기가 전쟁터구나’ 싶었습니다.”


영남권을 할퀸 ‘괴물 산불’은 20년 넘도록 산불 현장을 쫓아다닌 서재철(57) 녹색연합 전문위원에게도 공포였다. 그는 산불 소식을 접하자마자 지난달 23일 경북 의성으로 달려갔다. 서 위원은 1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이번 산불을 ‘기후위기 재난’으로 규정하고 “국방 수준의 대응이 필요하며 인명 보호 중심으로 산불 대응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장에서 본 괴물 산불은 어땠나.

“지난달 25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에 도착했을 때 눈앞에 펼쳐진 광경이 믿기지 않았다. 바람이 초속 25m로 불었다지만 산 위에선 체감상 훨씬 강했다. 성인도 휘청일 정도였다. 하늘은 연기로 뒤덮여 낮인데도 깜깜했고 모든 게 벌겋게 타고 있었다. 조금만 늦었으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뻔했다.”

-이번 산불 직전, 평소와 다른 점은.

“산불이 나기 며칠 전 폭설이 내렸다가 곧바로 이상할 정도로 기온이 올라갔다. 날씨가 갑자기 따뜻해지면 ‘증발산’(蒸發散·지표면에서 대기 중으로 수증기가 이동하는 현상)이 빨라지고 건조해진 상태에서 강풍이 불면 산불이 날 확률이 높아진다.”

-현장에서 본 기후위기의 다른 징후는.

“2013년부터 지리산과 한라산 침엽수가 기후 스트레스로 집단 고사하고 있다. 날씨가 따뜻해져 빛의 양은 많은데 적설량이 줄어 건조하니 균형이 깨지면서 나무가 죽는다. 기후위기는 더 악화할 수밖에 없다. 훨씬 강력한 산불이 도시를 덮칠 수도 있다.”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비유하자면 국방 수준의 대응이 필요하다. 비상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수십만 군인이 끊임없이 훈련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처럼 기후위기 재난 대비도 그렇게 강화해야 한다. 도시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전쟁에 버금가는 국가 재난이다. 가장 시급한 건 산불 대응 패러다임을 ‘인명 보호’ 중심으로 전면 재정비하는 것이다. 수십명이 죽은 게 불가항력이었는지 복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2025-04-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