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순애 할머니 챙기는 박해순 돌보미
“할머니들을 찾아 도움을 주고 나면 보람이 있고, 고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보람을 느낍니다.”홀로 사는 노인을 챙기는 사단법인 희망세상 소속의 돌보미 박해순(44)씨는 지난해 1월 이 일을 시작했다. 희망세상은 전남 순천시의 민간 위탁을 받아 국비 70%, 도·시비 15%씩으로 운영된다.

희망세상 허병주 이사장은 자원봉사 단체에 소속해 있는 사람들 가운데 노인들을 부모처럼 모시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면접을 통해 도우미로 뽑고 있다고 했다. 허 이사장은 “사회의 변화는 바로 나 자신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면서 “나누는 삶이 곧 나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순천시 주암면에 거주하는 박씨는 오전 5시부터 9시까지 농사일을 하고 나머지 시간에 홀로 사는 노인 28명을 돌본다. 일주일에 5일, 하루 5시간씩 봉사하고 있지만 실상은 훨씬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어느 한 군데만 있을 수 없기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른 곳으로 가야 하지만 심심하다며 못 가게 하는 노인들이 많기 때문이란다.
그래서 집안일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일을 이해하는 남편과 대학 2학년생, 고교 2학년생인 두 딸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그저 식구들에게 미안함과 고마움을 느 낄 따름이다.
●“유기농 쌀 전해 드렸을 때 제일 보람”
방학 때는 딸들도 함께 따라와 독거노인들을 찾아가기도 한다. 박씨는 딸들이 대견스럽고, 노인들을 같이 보고 나서 더 효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씨는 활동비 명목으로 한 달에 60만원을 받는다.
돌보미로 일할 때 승용차 운행은 필수 조건. 그렇지만 전화료와 자동차 기름값을 내면 오히려 적자를 보기 십상이다. 노인들에게 찾아갈 때 빈손으로 가기가 민망해서 호주머니를 털어 우유 등을 사가기 때문이다. “봉사하는 마음 없이 돈을 먼저 생각하면 이 일을 못한다.”는 박씨는 “무료했던 생활이 지금은 확 바뀌었다.”고 말했다.
●“모든 어르신들이 부모처럼 느껴져”
23년째 농사일만 하다 보니 권태감과 스스로에게 화가 났었지만 돌보미 일을 시작하고 나서는 생활에 활력을 찾았단다. 박씨는 “전주에서 마트를 10개 운영하다 주암으로 내려왔는데, 노인들을 극진히 보살피는 이웃을 보고 돌보미 일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교통사고 충격으로 1년만 내려와 살다 올라가려고 자산을 정리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을 베풀었다. ‘욕심을 버리면 편해진다.’는 말을 듣고 시작한 봉사가 이렇게 보람 있는지 몰랐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유기농 쌀 20㎏ 28포를 회사 지원금과 사비를 들여 노인들에게 가져다 줬을 때 정말 기뻐하는 모습을 봤는데 그때 가장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노인들이 자신을 위해서는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무작정 아끼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며 “자기 몸을 더 소중히 생각하고 생활하면 좋겠다.”고 아쉬워했다.
박씨는 “작은 힘이지만 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이 일을 계속하고 싶다.”면서 “사회복지 분야와 같은 공부를 더 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순천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1-06-2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