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한자 원형 ‘갑골문’…알고 보니 동이족의 유산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한자 원형 ‘갑골문’…알고 보니 동이족의 유산

입력 2018-01-15 22:18
수정 2018-01-15 2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나라 갑골문자의 수수께끼

중국인들이 한자(漢字)의 원형이 거북이나 소뼈 등에 새긴 갑골문(甲骨文)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불과 100여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은 역사의 수수께끼다. 그 전까지 갑골은 용골(龍骨)로 불리며 만병통치 약재로 쓰였다.
이미지 확대
하남성 안양현 출토 갑골문. 한자의 원형이 갑골문이라는 사실을 19세기 말까지 중국인들이 몰랐던 것은 역사의 수수께끼다.
하남성 안양현 출토 갑골문. 한자의 원형이 갑골문이라는 사실을 19세기 말까지 중국인들이 몰랐던 것은 역사의 수수께끼다.
19세기 말 북경의 국자감좨주(國子監祭酒) 왕의영(王懿榮·1845~1900)은 학질에 걸리자 용골을 구입했다가 글씨를 발견하고 이것이 갑골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소수의 약재상들만 알던 용골의 출처는 하남성(河南省) 북부 안양현(安陽縣) 서북쪽 소둔(小屯)촌이었는데, 이곳이 은 왕조의 수도 은허(殷墟)였다. 갑골문이 동이족 문자라는 사실이 불편한 중국의 일부 학자들은 갑골문에 알타이어의 요소가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갑골문은 점치는 복사(卜師)가 신에게 묻는 복문사(卜問辭)로서 그림으로 나타낸 상형문이다. 상형문은 고립어 구조이기 때문에 알타이어의 요소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9세기 말까지 자신들이 쓰는 한자의 원형이 갑골이란 사실을 중국인들은 왜 몰랐을까. 가슴을 열고 시원(始原)을 찾아 나서면 풀어야 할 수수께끼가 널려 있다.

2018-01-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