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 리포트-대한민국 중3] 정부부터 ‘학벌’ 깨야 대입 개편 성공한다

[교육개혁 리포트-대한민국 중3] 정부부터 ‘학벌’ 깨야 대입 개편 성공한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18-07-01 23:04
수정 2019-05-27 14: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능 지지하든 ‘학종’ 지지하든 속마음은 “명문대 나와야 출세”

대학 서열화·무한경쟁에 강박감
정부가 ‘낡은 룰’ 타파 앞장서야
“우리 사회의 ‘낡은 룰’을 깨야 대입 개편의 해법이 보인다.”

현재 중학교 3학년이 고3 때 치를 새 대학입시 모형(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찾기 위한 작업이 한창이다.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이냐, 학종(학생부종합전형)이냐’를 두고 다투는 모양새인데 대학 진학이 우리 사회에서 가져오는 의미를 생각할 때 단순히 각 전형의 기술적 장단점만 비교해서는 지속될 수 있는 모델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신문이 1일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아르스프락시아’에 의뢰해 수능파(수능 전형 지지)와 학종파(학생부종합전형 지지) 학부모 각 4명씩 심층그룹인터뷰(FGI)를 진행하고 심리 기저를 살펴보니 학부모들도 비슷한 속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정부가 ‘경쟁 지향적인 한국에서는 명문대를 나와야 성공한다’는 등의 낡은 룰을 깨기 위한 큰 그림을 보여 줘야 어떤 방향의 대입 개편이든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능파 학부모들은 보통 수능의 ‘공정성’을 강조하며 수능 전형 확대를 주장하는데 그 밑바탕에는 조금 더 근본적 논리가 있었다. 분석을 주도한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는 “수능파 학부모가 수능 전형을 정당화하기 위해 쓴 ‘겉 의미’ 단어를 찾아보니 ‘내신성적’,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공부’ 등이 잡혔고, 실제 관심사나 가치관이 드러나는 ‘속 의미’ 단어로는 ‘능력’, ‘소양’, ‘부담’ 등이 쓰였다”고 말했다. 풀이하자면 ‘한국은 무한경쟁 사회→승리 위해 능력(소양) 필요→학벌(SKY)은 여전히 강력한 능력→이를 위해 대입이 매우 중요한데 학종은 불투명성 때문에 심적·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다’는 논리 회로다.

반면 학종파 학부모들은 ‘속 의미’ 단어로는 ‘존중’, ‘인생’, ‘맥락’ 등이 잡혔다. ‘교육은 인성 함양의 한 과정이며 이를 위해 과정(맥락) 중심의 학습이 중요하다. 또 자녀가 부모와는 독자적인 인생을 사는 걸 존중해야 한다’는 철학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인터뷰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정시파 학부모와 마찬가지로 학벌과 경쟁에 대한 고민이 일부 엿보였다.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40대 학종파 학부모는 “취업 등 사회 시스템의 불공정함, 양극화, 대학 서열화 등 거대 문제들이 대입을 꼭 성공시켜야 한다는 강박감을 키우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어떤 입시 제도도 본질적으로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학부모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자녀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등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7-0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