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절반의 청춘,‘나’를 가두다[청년, 고립되다]

[단독] 절반의 청춘,‘나’를 가두다[청년, 고립되다]

신융아 기자
입력 2022-07-17 17:50
수정 2022-07-18 0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2030세대 창간 설문조사

무한경쟁·폭력에 ‘마음의 문’ 닫아
둘 중 한 명은 “물리적 고립 경험”

이미지 확대
청년 2명 중 1명은 연락을 두절한 채 스스로 방 안에 자신을 가두는 고립 상태의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창 시절부터 무한 경쟁에 내몰려 살아남아야 한다는 압박감 혹은 학교폭력·가정폭력, 진학 실패 등 부정적 경험의 무게에 짓눌린 청년들이 주변의 도움조차 기대하지 못하게 되자 ‘마음의 문’을 닫아 버린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신문이 창간 118주년을 맞아 비영리 공공조사 네트워크 공공의창,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와 함께 지난 6~13일 만 20~39세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500명 중 250명(50.0%)은 “물리적 고립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물리적 고립은 가족 외 타인과 직접적인 접촉 없이 생활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외출만을 하거나 전혀 외출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고립 기간은 ‘1개월 이내’가 36.1%로 가장 많았고 ‘1개월 이상~3개월 이내’ 31.3%, ‘3개월 이상~1년 이내’ 19.8% 순이었다. 1년 이상 고립 상태를 경험했다는 비율도 12.8%로 적지 않았다.

정서적으로 의지할 사람이 없거나 혼자뿐이라는 심리적 고립감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81.1%가 “그렇다”고 답했다. ‘가끔 고립감을 느낀다’는 비율이 56.6%로 가장 많았고 ‘종종 느낀다’(21.1%), ‘매일 느낀다‘(3.4%)가 뒤를 이었다. 고립의 원인에 대해선 응답자의 26.7%는 ‘성격 등 개인 문제’라고 답했다. ‘대학·취업 등 실패 경험’(19.4%), ‘소득·주거 등 경제적 문제’(14.2%), ‘따돌림·폭력 경험’(12.9%)을 꼽은 응답자도 있었다.

코로나19가 고립을 심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71.9%가 그렇다고 했다. 이 중 “매우 그렇다”는 답변도 23.1%나 됐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17일 “코로나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로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소통이 단절돼 고립이 심해진 경향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조정실은 1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고립·은둔 여부 식별 등 ‘청년(만 19~34세) 삶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다.
2022-07-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