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신세계 그룹, 쇼핑포털 ‘SSG닷컴’ 젊은층 강타

[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신세계 그룹, 쇼핑포털 ‘SSG닷컴’ 젊은층 강타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6-07-17 15:20
수정 2016-07-17 16: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올해 초 ‘쓱’ 광고로 인기를 끈 신세계의 SSG닷컴은 다양한 행사로 쇼핑의 재미를 높이고 있다. 신세계 제공
올해 초 ‘쓱’ 광고로 인기를 끈 신세계의 SSG닷컴은 다양한 행사로 쇼핑의 재미를 높이고 있다.
신세계 제공
신세계 그룹의 쇼핑포털로 자리잡은 SSG닷컴의 성장세가 놀랐다. 올해 초 SSG를 한글 ‘쓱’으로 표현하며 마케팅에 나선 결과 올 들어 6월까지 누적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다. 신규 가입자 수는 지난해보다 38% 늘었는데 특히 20대에서 4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모바일을 통한 매출이 50% 늘면서 전체 온라인 매출에서 모바일이 차지하는 비중이 54%로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40%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 ‘쓱’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마케팅으로 20~30대 연령층의 폭발적인 지지를 얻은 것이라고 회사 측은 분석하고 있다.

SSG닷컴은 신세계백화점은 물론 이마트, 트레이더스, 드러그스토어인 분스까지 온라인상에서 만날 수 있다. 업태를 하나로 묶은 수준을 넘어 상품검색, 프로모션, 결제까지 통합했다. 백화점몰과 이마트몰에서 따로 취급하던 상품들을 한꺼번에 비교하고 동시에 살 수 있고 포인트 적립 및 가격할인 등 각종 혜택도 한 번에 받을 수 있다.

새로운 서비스도 도입했다. 매번 주기적으로 장보기 상품들을 자동으로 결제하고 원하는 날짜에 알아서 배송해 주는 정기배송 서비스 ‘정장남’(정기적으로 알아서 장 봐 주는 남자), 많은 정보 속에서 원하는 정보들만 쉽게 찾을 수 있는 ‘클립’ 서비스, 구매와 검색 데이터를 분석해 개별적으로 상품을 추천해 주는 ‘지금 뜨는 상품’ 등이 고객의 사랑을 받고 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7-18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