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 읽기] 니체의 독서관 살펴보니

[고전 톡톡 다시 읽기] 니체의 독서관 살펴보니

입력 2010-12-13 00:00
수정 2010-12-1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유를 잘근잘근 씹어 맛의 변화를 체험하고 온몸에 퍼뜨릴 소처럼

니체는 글 가운데 ‘피로 쓴 것만’을 사랑했다. “다른 이의 피(넋)를 이해하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에 “게으름을 피워가며 책을 뒤적거리는 자들”을 미워했다. 저자의 넋을 이해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일 귀와 눈을 가진 독자를 니체는 갈망했다. 그래서일까? 니체의 언어는 우리에게 매우 낯설다. ‘차라투스트라’만 해도 초판은 단지 40부만 판매되었을 뿐이다. 사실 니체는 아무나 ‘차라투스트라’를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또 누구라도 읽어주길 바라지도 않았다.

그렇다면 니체의 책들은 오직 높은 지적 능력을 가진 사람만을 위한 것일까? 아니다. 오히려 니체는 자신의 책과 공명할 독자 또한 창조하고자 했다. 니체는 독자들에게 묵독이 아니라 암송을 권장한다. 묵독이 의식의 영역에 관계된 것이라면, 암송은 신체의 영역에 관련된다.

“이 한가지 일을 위해서 사람들은 거의 소가 되다시피 해야 하며 어느 경우에도 ‘현대인’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는 되새김질하는 것을 말한다.”(‘도덕의 계보’)

소의 되새김질을 떠올려 보라. 하나의 사유를 잘근잘근 씹고 또 씹어 맛의 무수한 변화를 체험하는 동시에 영양분을 하나하나 온몸에 퍼뜨리는 독자를. 니체 식으로 말하면 글이 어떤 맛과 향기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신체’가 기억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몸에 앎이 흡수된다면 ‘지금’ 머릿속으로 이해되지 않던 생각들도, 몸에서 자연 숙성된다. 그리고 불현듯 독자는 뜻밖의 영감과 만날 수 있게 된다. 말하자면 의식이 아니라 존재에 호소하는 독서법이 존재한다. 니체는 자신의 독자가 책과 존재의 차원에서 만나기를 바라지 않았을까?

2010-12-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