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후 세번째 총리에 이례적으로 현직 감사원장을 지명함에 따라 그 인선 배경이 전임 총리들과 어떻게 다른지 관심을 끌고 있다.
김황식 감사원장이 총리 후보로 낙점된 것은 무엇보다 인사청문회 통과를 인선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이는 지난달 말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가 도덕성 문제로 낙마한 탓이 컸다.
청와대는 김 후보자가 지난 2008년 감사원장 인사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했을 만큼 ‘도덕성’에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핵심 가치로 천명한 ‘공정한 사회’를 구현할 ‘국정 2인자’로서 최적임자였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전임인 정운찬 전 총리에 이어 김 후보자도 병역 면제 경력이 있다는 점은 ‘공정한 사회’ 구현 기조에 맞느냐는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편에서는 인사청문회 통과를 위해 도덕성보다 호남 출신이라는 점을 더 중요한 인선 기준으로 삼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호남에 지역기반을 둔 정당인 만큼 ‘호남 총리’를 낙마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해석인 셈이다.
청와대도 인선 배경의 첫머리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전남 출생 국무총리 후보자”라는 점을 앞세웠다.
또 최근 민주당 박지원 비대위 대표는 국회 법제사법위 전체회의에 김 후보자가 출석하자 총리 제의를 받았는지를 우호적으로 질의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당시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여권에 ‘힌트’를 준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지난해 9.3 개각을 통해 지명된 정운찬 전 총리는 이 대통령이 당시 국정운영 기조로 천명했던 ‘친서민 중도실용’의 가치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면서 ‘다목적 포석’을 지닌 카드였다.
정 전 총리는 신자유주의 확대를 우려해온 대표적 경제학자였고 ‘대운하’를 정면 비판하는가 하면,민주당의 대선주자로 거론됐을 만큼 이념적으로도 중도진보 이미지를 지녔기 때문에 당시 ‘깜짝 기용’으로 평가받았다.
아울러 정 전 총리의 기용에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렸었다.
특히 정 전 총리는 지명과 함께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를 견제할 ‘친이(親李)’ 진영의 대항마이면서 잠재적인 차기 대권주자로 간주됐다.
이와 함께 충청 출신인 만큼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불모지’였던 충청권을 겨냥한 포석으로도 받아들여졌다.정 전 총리를 ‘우리 사람’으로 여겼던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은 허탈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지명 이후에 드러나긴 했지만 그는 세종시 원안 수정의 총대를 멜 ‘세종시 총리’이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 초대 총리인 한승수 전 총리는 ‘자원외교’를 염두에 두고 이 대통령이 발탁한 인물이었다.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가 상공.재경.외교장관 등 3개 부처 장관을 거치며 외교와 경제 분야에서 최고의 경력을 쌓고 대통령 비서실장과 3선 국회의원,유엔총회 의장까지 지낸 경험을 높이 샀다는 후문이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한 전 총리를 지명하면서 “대통령이나 총리는 각자의 역할이 있고 총리는 앞으로 세계 시장에 다니면서 자원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해야 할 역할이 많다”고 말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에게 ‘자원 외교’,‘세일즈 외교’의 권한을 사실상 위임하다시피 했다.
한 전 총리는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이 전 대통령과 특별한 인연이 없는데도 초대 총리에 지명돼 ‘일 중심’ 콘셉트로도 받아들여졌다.
연합뉴스
김황식 감사원장이 총리 후보로 낙점된 것은 무엇보다 인사청문회 통과를 인선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이는 지난달 말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가 도덕성 문제로 낙마한 탓이 컸다.
청와대는 김 후보자가 지난 2008년 감사원장 인사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했을 만큼 ‘도덕성’에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핵심 가치로 천명한 ‘공정한 사회’를 구현할 ‘국정 2인자’로서 최적임자였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전임인 정운찬 전 총리에 이어 김 후보자도 병역 면제 경력이 있다는 점은 ‘공정한 사회’ 구현 기조에 맞느냐는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편에서는 인사청문회 통과를 위해 도덕성보다 호남 출신이라는 점을 더 중요한 인선 기준으로 삼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호남에 지역기반을 둔 정당인 만큼 ‘호남 총리’를 낙마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해석인 셈이다.
청와대도 인선 배경의 첫머리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전남 출생 국무총리 후보자”라는 점을 앞세웠다.
또 최근 민주당 박지원 비대위 대표는 국회 법제사법위 전체회의에 김 후보자가 출석하자 총리 제의를 받았는지를 우호적으로 질의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당시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여권에 ‘힌트’를 준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지난해 9.3 개각을 통해 지명된 정운찬 전 총리는 이 대통령이 당시 국정운영 기조로 천명했던 ‘친서민 중도실용’의 가치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면서 ‘다목적 포석’을 지닌 카드였다.
정 전 총리는 신자유주의 확대를 우려해온 대표적 경제학자였고 ‘대운하’를 정면 비판하는가 하면,민주당의 대선주자로 거론됐을 만큼 이념적으로도 중도진보 이미지를 지녔기 때문에 당시 ‘깜짝 기용’으로 평가받았다.
아울러 정 전 총리의 기용에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렸었다.
특히 정 전 총리는 지명과 함께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를 견제할 ‘친이(親李)’ 진영의 대항마이면서 잠재적인 차기 대권주자로 간주됐다.
이와 함께 충청 출신인 만큼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불모지’였던 충청권을 겨냥한 포석으로도 받아들여졌다.정 전 총리를 ‘우리 사람’으로 여겼던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은 허탈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지명 이후에 드러나긴 했지만 그는 세종시 원안 수정의 총대를 멜 ‘세종시 총리’이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 초대 총리인 한승수 전 총리는 ‘자원외교’를 염두에 두고 이 대통령이 발탁한 인물이었다.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가 상공.재경.외교장관 등 3개 부처 장관을 거치며 외교와 경제 분야에서 최고의 경력을 쌓고 대통령 비서실장과 3선 국회의원,유엔총회 의장까지 지낸 경험을 높이 샀다는 후문이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한 전 총리를 지명하면서 “대통령이나 총리는 각자의 역할이 있고 총리는 앞으로 세계 시장에 다니면서 자원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해야 할 역할이 많다”고 말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에게 ‘자원 외교’,‘세일즈 외교’의 권한을 사실상 위임하다시피 했다.
한 전 총리는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이 전 대통령과 특별한 인연이 없는데도 초대 총리에 지명돼 ‘일 중심’ 콘셉트로도 받아들여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