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한승수·정운찬 前 총리와 무엇이 다를까

김황식, 한승수·정운찬 前 총리와 무엇이 다를까

입력 2010-09-16 00:00
수정 2010-09-16 16: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후 세번째 총리에 이례적으로 현직 감사원장을 지명함에 따라 그 인선 배경이 전임 총리들과 어떻게 다른지 관심을 끌고 있다.

 김황식 감사원장이 총리 후보로 낙점된 것은 무엇보다 인사청문회 통과를 인선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이는 지난달 말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가 도덕성 문제로 낙마한 탓이 컸다.

 청와대는 김 후보자가 지난 2008년 감사원장 인사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했을 만큼 ‘도덕성’에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핵심 가치로 천명한 ‘공정한 사회’를 구현할 ‘국정 2인자’로서 최적임자였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전임인 정운찬 전 총리에 이어 김 후보자도 병역 면제 경력이 있다는 점은 ‘공정한 사회’ 구현 기조에 맞느냐는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편에서는 인사청문회 통과를 위해 도덕성보다 호남 출신이라는 점을 더 중요한 인선 기준으로 삼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호남에 지역기반을 둔 정당인 만큼 ‘호남 총리’를 낙마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해석인 셈이다.

 청와대도 인선 배경의 첫머리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전남 출생 국무총리 후보자”라는 점을 앞세웠다.

 또 최근 민주당 박지원 비대위 대표는 국회 법제사법위 전체회의에 김 후보자가 출석하자 총리 제의를 받았는지를 우호적으로 질의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당시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여권에 ‘힌트’를 준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지난해 9.3 개각을 통해 지명된 정운찬 전 총리는 이 대통령이 당시 국정운영 기조로 천명했던 ‘친서민 중도실용’의 가치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면서 ‘다목적 포석’을 지닌 카드였다.

 정 전 총리는 신자유주의 확대를 우려해온 대표적 경제학자였고 ‘대운하’를 정면 비판하는가 하면,민주당의 대선주자로 거론됐을 만큼 이념적으로도 중도진보 이미지를 지녔기 때문에 당시 ‘깜짝 기용’으로 평가받았다.

 아울러 정 전 총리의 기용에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렸었다.

 특히 정 전 총리는 지명과 함께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를 견제할 ‘친이(親李)’ 진영의 대항마이면서 잠재적인 차기 대권주자로 간주됐다.

 이와 함께 충청 출신인 만큼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불모지’였던 충청권을 겨냥한 포석으로도 받아들여졌다.정 전 총리를 ‘우리 사람’으로 여겼던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은 허탈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지명 이후에 드러나긴 했지만 그는 세종시 원안 수정의 총대를 멜 ‘세종시 총리’이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 초대 총리인 한승수 전 총리는 ‘자원외교’를 염두에 두고 이 대통령이 발탁한 인물이었다.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가 상공.재경.외교장관 등 3개 부처 장관을 거치며 외교와 경제 분야에서 최고의 경력을 쌓고 대통령 비서실장과 3선 국회의원,유엔총회 의장까지 지낸 경험을 높이 샀다는 후문이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한 전 총리를 지명하면서 “대통령이나 총리는 각자의 역할이 있고 총리는 앞으로 세계 시장에 다니면서 자원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해야 할 역할이 많다”고 말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은 한 전 총리에게 ‘자원 외교’,‘세일즈 외교’의 권한을 사실상 위임하다시피 했다.

 한 전 총리는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이 전 대통령과 특별한 인연이 없는데도 초대 총리에 지명돼 ‘일 중심’ 콘셉트로도 받아들여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